친환경적인 작부체계란 ?
친환경적인 작부체계란 ?
작부체계란 일정한 토지에 몇 가지 작물을 조합하여 일정한 순서로 순환적으로 재배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앞뒤 작물의 조합과 동시에 간작(사이짓기), 혼작(섞어짓기) 등의 공간적인 조합을 협의의 작부체계라 하고, 작물의 조합뿐만 아니라 재배하는 작물의 생산을 위해 필요한 자원관리, 자재투입, 재배기술 등을 포함한 것을 광의의 작부체계라 한다.
일반적인 작부체계로는 한 포장에서 몇 가지 작물을 특정한 순서로 규칙적으로 반복하여 재배하는 윤작(돌려짓기)과 논을 논 상태와 밭 상태로 몇 해씩 돌려가면서 벼와 밭작물을 재배하는 답전윤환, 한 땅에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작물을 섞어 재배하는 혼작, 주가 되는 작물 사이에 다른 종류의 작물을 재배하는 간작, 포장의 주위에 포장내의 작물과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주위작 등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다. 이와 같은 작부체계는 온도, 강수량 및 일조량 등의 기상조건과 지력유지에 적합하도록 작물의 재배순서를 잘 정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작부체계는 겨울작물인 보리와 밀 등을 재배한 후 여름작물인 벼와 콩을 재배하거나 수수를 혼작하는 등 각종 작물의 조합으로 비교적 안정된 생산 유지가 목적이었다.
최근에는 특정 작물의 집중재배 시 발생되는 토양 병해충에 의한 연작장해 방지와 화학비료 다량 투여에 따른 환경부하를 경감시키고, 토양양분의 불균형에 의한 각종 생리장해를 경감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지만 사회․문화․경제적인 환경의 변화 등으로 농가소득과 다수확에 치중되어 토양을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다.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작물기술지원과 농업연구관 김충국
연락처 : 전화(031-290-6866), E-mail(kimcg@rd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