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와 가능한 작부체계는 ?
옥수수와 가능한 작부체계는 ?
옥수수의 작부체계는 재배지역의 옥수수 생육기간(파종 및 수확시기)과 이용목적(식용, 사료용)에 따라서 결정이 된다.
옥수수와 작부체계가 가능한 작물은 콩, 팥, 녹두, 가을무, 가을배추, 월동배추, 헤어리베치 등이 있다.
식용 풋옥수수의 재배유형은 6가지로 구분하고 있으며 찰옥수수는 단옥수수, 초당옥수수보다 생육기간이 10일 정도 더 길어 중부지방이나 남부지방에서는 2기작 재배가 가능하지만 강원, 충북 산간지에서는 가온이 필요하여 많은 경영비 부담으로 사실상 불가능하다.
가을재배는 적기재배 출하가 마무리 된 이후인 9월 하순경에 수확할 수 있도록 6, 7월에 파종하여 재배하는 것을 의미한다. 남부지방에서는 주로 비가림 재배를 통하여 후작물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북부 산간 지역에서는 매문병 및 상품성의 문제로 노지직파재배의 경우는 좀 더 이른 5월 하순, 6월 상순까지 파종하여야 한다. 하우스를 이용한 비가림재배의 경우는 더 늦은 7월 상순, 중순까지 파종해도 무방하다.
표 1. 풋옥수수 재배유형별 파종 및 수확시기와 재배가능지역
재배유형 |
재배방법 |
파종시기 |
수확시기 |
재배가능지역 |
극조기재배 |
비닐하우스재배 |
2월 중순~ 3월 상순 |
5월 하순~ 6월 상중순 |
전남, 경남, 제주, 충남, 전북, 경북 |
조기재배 |
비닐터널재배 |
3월 하순 |
6월 하순 |
충남북, 전북, 경북 |
반촉성재배 |
비닐피복 |
4월 상순 |
7월 상중순 |
충남북 이남 |
적기재배 |
무피복 |
4월 중순 |
7월 하~ 8월 상순 |
전국 |
비가림재배 |
비닐하우스 재배 |
6월 상순~ 7월 하순 |
8월 중순~ 9월 중하순 |
전남, 경남, 충남북, 전북, 경북 |
가을재배 |
노지재배 |
7월 중순 |
9월 중하순 |
강원, 충북산간지 |
단옥수수를 만기재배(늦재배) 하가나 가을재배하면 고온다습으로 인하여 깨씨무늬병이 다량 발생하여 옥수수 이삭생산이 어려우나 찰옥수수의 경우 병에 강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어 2기작 재배가 가능하다.
과거에 식용옥수수 2기작 재배는 1기작으로 단옥수수를 조기재배하고 2기작으로 찰옥수수를 재배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전남 완도, 경남 고성 등의 남부지역에서도 터널, 멀칭재배방법으로 조기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어 이 지역을 중심으로 한 전국에서 재배유형별 2기작 재배가 가능하게 되었다.
|
사료용으로 옥수수를 재배할 경우에는 5월 중순에 이전에 파종하여 9월 상순에 수확하고, 호밀이나 이탈리안라이그라스를 재배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옥수수가 생리적 성숙기에 도달하기 전에 수확하면 양분 손실이 너무 많으므로 반드시 성숙이 된 다음에 수확하는 것이 중요하다.
옥수수 뒷그루로 헤어리베치를 재배하여 이용하면 이듬해 옥수수를 재배할 때 화학비료를 주지 않고 옥수수를 재배할 수 있다.
헤어리베치는 콩과에 속하는 녹비작물로 8~9월에 10a당 3~4kg을 파종하고 재배관리를 잘 해주면 4~5월에 생초로 10a당 4,000kg 이상을 생산할 수 있어 이를 옥수수 파종 1~2주전에 제자리에 갈아엎으면 옥수수를 재배할 때 화학비료를 주지 않아도 된다.
자료제공 :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작물기술지원과 농업연구관 김충국
연락처 : 전화(031-290-6866), E-mail(kimcg@rd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