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리베치를 사료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최근 영농기술
헤어리베치를 사료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최근 영농기술
1. 유기조사료(옥수수) 생산을 위한 겨울철 휴한기 헤어리베치 윤작 도입효과(농업과학원, 2007)
○ 겨울철에 헤어리베치를 재배하여 유기 조사료용 옥수수재배를 위한 녹비로 활용함으로써 옥수수의 생산량이 녹비활용 4년차부터 관행(NPK시용) 대비 20~36% 증가
2. 사료용 맥류 + 헤어리베치 혼파 효과(축산연구소, 2001)
○ 연맥과의 혼파시 가을 또는 봄의 단경기 이용보다는 가을에 연맥을 이용하고 봄에 헤어리베치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함
○ 호밀과의 혼파시에는 호밀 파종량의 1/3을 헤어리베치로 대체하여도 사료가치 및 수량에서 큰 차이가 없고, 질소비료를 1/3 절감할 수 있음
○ 헤어리베치는 품종에 따라 월동력 차이가 크므로 품종 선택시 월동성을 고려해야 하며, 5월 중순이후 건물축적이 빠르게 일어나므로 후작물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높은 수량을 위해 5월 하순이후에 수확하는 것이 좋음
○ 호밀 단파 대비 헤어리베치 혼파시 ha당 질소질 비료대 29천원 절감 가능
3. 호밀-헤어리베치 혼파이용시의 적정 파종 및 수확시기
(축산연구소, 2002)
○ 호밀-헤어리베치 혼파시는 8월 하순∼9월 중순 파종시 건물 및 조단백질 수량이 가장 높았음
○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건물수량은 높았으나 5월 상순 수확시 조단백질 수량이 낮은 경향임
○ 따라서 호밀-헤어리베치 혼파시는 전년도 8월 하순∼9월 중순에 파종하여, 옥수수를 후작물로 이용할 경우 이듬해 4월 하순경에 수확이용하고 조생 옥수수 또는 수단그라스계 잡종을 이용할 경우 5월 상·중순경에 수확 이용하는 것이 권장됨
4.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헤어리베치 녹비효과(축산연구소, 2007)
○ 헤어리베치를 유기비료(녹비)로 활용한 유기조사료 생산 기술 제시
○ 헤어리베치의 유기비료 공급능력 : 120~164kg/ha
○ 유기퇴비 부족 시 헤어리베치 활용 권장
5. 중만생 다수성 헤어리 베치 ‘오레곤 컴먼(Oregon common)’ 품종특성과 재배기술(축산연구소, 2007)
○ 파종기 : 중부지역은 9월 중순경, 남부지역은 9월 하순에서 10월 상순 주로 파종한다.
○ 파종량(ha) : 40~60kg으로 하고 파종방법은 줄뿌림을 하는 것이 산파보다 유리하며, 최근에는 총체보리, 귀리, 호밀, 유채 등과 혼파재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 시비량(ha) : 비료는 성분량으로 질소 80kg, 인산 200kg, 칼리 70kg을 준다.
○ 수확기 : 헤어리베치는 주로 건초보다 생초용으로 이용되며, 생초수량은 개화기에 가장 많다. 조생종은 4월 중하순, 중만생종은 5월 중하순경이 수확기이며, 헤어리베치는 대부분 초기 생육이 늦으나 온도가 상승하면 생육이 왕성해 짐.
6. 헤어리베치 조생종 카펠로(capello), 중만생종 샌더(sander)와 웰타(welta) 품종 소개 및 재배 기술(축산연구소, 2007)
○ 우량품종 : 조생종은 카펠로, 중만생종은 샌더와 웰타가 있으며, 농가 조건에 따라 선택함
○ 파종시기 및 파종량 : 추파, 30-40kg/ha
○ 시비량 : 조성비료 - 질소 80, 인산 200, 칼리 70kg
관리비료(봄 추비) - 인산 150, 칼리 240kg
○ 수확시기 : 조생종은 4월 하순, 중만생종은 5월 중하순
○ 기타 : 헤어리베치는 대부분 초기 생육이 늦으나 온도가 상승하면 생육이 왕성함
7. 남부지역 논에서 헤어리베치의 품종 및 재배 이용기술
(축산연구소, 2007)
○ 남부지역에서 배수가 양호한 논에 헤어리베치를 10월 상순에 파종하여 이듬해 벼 이앙하기 전인 5월 중순에 양질조사료로 수확하여 이용함
○ 헤어리베치 품종 : 오레곤 커먼(Oregon common) 품종이 생산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다른 품종도 자운영에 비교해서 현저하게 높아 재배 가능성은 있음
자료문의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환경과 농업연구관 김충국
연락처 : 전화(031-290-6774), E-mail(kimcg@rd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