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조명/야간조명연구

참깨 생육 중 야간조명의 영향

강소농 등대 2008. 11. 18. 08:43

참깨 생육 중 야간조명의 영향


 산업의 발달과 농촌의 도시화에 따라 도로 주변의 가로등과 공업단지의 방범등, 주유소 등의 선전광고등, 기타 조명등이 증가되면서 농작물의 생육에 야간조명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야간조명에 대한 식물의 반응은 광질, 광의 강도, 조명 시간, 조명의 방향, 명암의 주기, 식물의 종류와 품종, 조직, 기관, 생육단계에 따라 반응이 다르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장일성 식물은 출수․개화가 촉진되어 영양생장기간이 단축되며, 단일성 식물은 그와 반대로 출수․개화가 지연되거나 출수․개화 자체가 안되고 영양생장만 계속되는 경우도 있다.

 광원의 종류는 불빛의 색에 따라 다른데 푸른색이 나오는 수은등과 흰색이 나오는 백열등, 유백색이 나오는 형광등, 주황색이 나오는 나트륨등이 있으며, 이 중 나트륨등이 작물에 비교적 영향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야간조명의 피해는 앞에서 설명한 광원의 종류와 조명시간, 등의 설치 갯수, 등의 높이, 불빛의 방향 및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포장과의 거리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산업도로와 같이 넓은 도로에 설치된 가로등의 경우에는 가로등 바로 밑(지상의 1m 높이)에서는 30~50룩스 정도가 되며, 가로등에서 10m가 떨어지면 6~8룩스 정도가 된다.

 참깨는 야간의 불빛 밝기(조도)가 4룩스 이하에서는 피해가 적지만 4룩스 이상에서는 품종과 기상조건에 따라 피해가 나타나므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1. 개화 및 성숙 반응

 참깨는 생육기간 동안 계속해서 꽃이 피는 무한화서 식물로서 영양생장을 하면서 동시에 개화 등 생식생장을 하며, 일장과 온도에 영향을 받는 식물이다.

 야간의 불빛 밝기가 밝을수록 개화 및 성숙이 지연되며, 품종에 따라서도 반응이 다르게 나타난다. 분지형인 안산깨는 야간의 불빛 밝기가 6.1~10.0룩스일 때는 2룩스 이하에 비하여 개화가 8일 지연되며, 성숙기는 13일 지연된다.

 무분지형인 서둔깨는 6.1~10.0룩스일 때 2룩스 이하에 비하여 개화가 3일 지연되며, 성숙기는 12일 지연되어 안산깨가 서둔깨보다 개화의 지연정도가 크다.


  표 1). 야간조명에 따른 참깨의 개화기 및 성숙기

품 종

개 화 기(월.일)

성 숙 기(월.일)

2.0 룩스이하

2.1~4.0

4.1~6.0

6.1~10.0

2.0 룩스이하

2.1~4.0

4.1~6.0

6.1~10.0

안산깨

7.12

7.14

7.18

7.20

8.28

8.31

9.8

9.10

서둔깨

7.12

7.14

7.15

7.15

8.29

9.2

9.8

9.10



2.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의 변화

꼬투리수와 등숙률도 야간의 불빛 밝기가 밝을수록 감소된다.

 꼬투리수는 야간의 불빛 밝기가 6.1~10.0룩스일 때는 2룩스 이하에 비하여 분지형인 안산깨는 28%인 14.7개가 감소되며, 무분지형인 서둔깨는 13%인 5.8개가 감소된다.

 등숙률은 야간의 불빛 밝기가 6.1~10.0룩스일 때는 2룩스 이하에 비하여 안산깨는 17.3%가 감소되며, 서둔깨는 4.1%가 감소되어 안산깨가 서둔깨 보다 꼬투리수와 등숙률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표 2). 야간조명에 따른 참깨의 꼬투리수 및 등숙률

품 종

꼬투리수(개/주)

등숙률(%)

2.0 룩스이하

2.1~4.0

4.1~6.0

6.1~10.0

2.0 룩스이하

2.1~4.0

4.1~6.0

6.1~10.0

안산깨

53.3

54.6

46.0

38.6

83.8

75.8

70.6

66.5

서둔깨

46.2

41.9

39.0

40.4

84.1

83.3

81.9

80.0


 야간의 불빛 밝기가 밝을수록 개화가 지연되고, 꼬투리수와 등숙률이 감소되어 수량도 현저하게 감소된다. 6.1~10.0룩스일 때 2룩스 이하에 비하여 안산깨는 40%가 감소되고, 서둔깨는 24% 감소되어 무분지형인 서둔깨보다 분지형인 안산깨가 불빛에 영향을 훨씬 더 받아 수량의 감소가 더욱 크다.

 

표 3). 야간조명에 따른 참깨 수량(단위 : kg/10a)

                           

품 종

2.0 룩스이하

2.1~4.0

4.1~6.0

 6.1~10.0

안산깨

91.5(100)

83.7(92)

73.9(81)

54.5(60)

서둔깨

85.9(100)

74.4(87)

70.6(82)

65.3(76)

 주) ( )내는 지수임


그림 1). 야간조명에 의한 참깨의 생육광경


3. 피해 예방대책

 참깨는 4룩스 이상의 밝기로 야간조명이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재배를 피하는 것이 좋다.

 안산깨보다는 서둔깨처럼 빛에 둔감한 품종을 재배하고, 가능하다면 고추, 토마토, 강낭콩, 잎들깨 등과 같이 피해가 적은 작물을 선택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부득이한 경우는 야간조명의 피해를 일으키는 수준이하로 밝기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명등의 불빛 방향을 작물의 반대쪽으로 향하게 하거나 각도조절 및 등에 갓을 씌워서 작물에 빛을 적게 쪼이게 해야 한다.

 

자료문의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김충국 (전화 : 031-290-6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