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조명/야간조명연구

야간조명에 의한 벼의 출수 및 수량 반응

강소농 등대 2008. 11. 18. 08:46

야간조명에 의한 벼의 출수 및 수량 반응


1. 피해기구

  벼는 일반적으로 낮보다는 밤시간이 길어야 이삭이 패고 꽃이 피는 단일식물로, 야간조명은 낮시간을 연장해 주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이삭패는 시기를 지연시켜 등숙을 불량하게 하므로 품질이 나빠지고 수량이 감소하게 된다.


2. 피해조건

가. 야간조명 조건

  광원의 종류는 불빛의 색에 따라 다른데 푸른색이 나오는 수은등과 흰색이 나오는 백열등, 유백색이 나오는 형광등, 주황색이 나오는 나트륨등이 있으며, 이 중 나트륨등이 작물에 비교적 영향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야간조명의 피해는 앞에서 설명한 광원의 종류와 조명시간, 등의 설치 갯수, 등의 높이, 불빛의 방향 및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논과의 거리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산업도로와 같이 넓은 도로에 높이 12m에 400W 나트륨등을 설치했을 때 가로등 바로 밑 지상의 1m 높이에서는 밝기가 30룩스 정도가 되며, 가로등에서 10m가 떨어지면 6룩스 정도가 된다.

  야간의 불빛 밝기(조도)가 5룩스 이하에서는 피해가 거의 없으나 5~10 룩스에서는 품종과 기상조건에 따라 피해가 있을 수 있으며, 10룩스 이상에서는 피해가 발생되므로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나. 벼의 상태

  벼의 영양생장기에는 생장이 촉진되고 화성 감응시기(최고분얼기~유수형성기)에는 이삭패는 시기가 늦어지며, 품종에 따라서 차이가 심한데 일반적으로 조생종 벼보다 일장 감응성이 큰 만생종 벼일수록 이삭패는 정도가 늦어져서 등숙이 불량해진다.

  이삭패는 시기가 늦어진 후 등숙기에 온도가 낮아지거나 서리가 오게 되면 등숙불량으로 청미가 발생하여 품질이 저하되고 수량이 감소된다.


3. 생육반응

  벼는 이삭패기전 7~40일경(6월 하순~8월 중순)이 야간불빛에 민감한 시기이며, 이삭이 팬 후에는 피해가 적은 편이다.

  야간에 불빛의 밝기가 20~30룩스 였을 경우 오대벼와 같은 조생종 벼는 이삭패는 시기가 4일 정도 늦어지지만, 중만생종인 일품벼와 대안벼, 중생종인 광안벼와 화성벼는 야간 불빛에 민감하여 이삭패는 시기가 10일 이상 늦어져(표 1), 등숙기의 온도와 일사량 부족으로 등숙이 나빠지고 수량이 떨어진다.


  표 1. 야간조명에 따른 벼 생태형별 출수지연 일수

생태형

품종별

야간조도별 출수지연 일수(일)

5~10룩스

10~20룩스

20~30룩스

30~50룩스

50~70룩스

조생종

오대별

1

3

4

5

5

중생조

화성벼

2

6

10

16

22

광안벼

4

13

23

29

29

안산벼

2

3

5

8

8

중만생종

일품벼

6

11

15

19

32

대안벼

2

5

11

17

19

추청벼

0

4

9

16

21

 주) 야간조도 2.0 룩스이하 대비임.


그림 1. 야간 불빛 밝기에 따른 이삭팸의 차이


  야간에 불빛의 밝기가 30~50룩스일 경우, 오대벼와 같은 조생종 벼는 출수지연이 5일 정도로 비교적 둔감하였으나 그루벼, 진미벼, 안산벼 등은 출수지연이 6~9일로 중간형태를 띠었으며 화성벼, 광안벼, 일품벼, 대안벼, 추정벼 등은 출수가 10일이상 지연되어 야간조명에 민감한 품종이었다(표 2).


  표 2. 야간조명에 따른 벼 품종별 출수반응 정도

생태형

출수반응

민감

중간

둔감

극조생종

-

-

오대벼, 소백벼, 흑진주벼

조생종

-

그루벼, 진미벼

대진벼

중생종

화성벼, 광안벼

안산벼

-

중만생종

일품벼, 대안벼, 추청벼

-

-

 주) 야간조도 30~50룩스 일 경우 2.0룩스 이하 대비 10일 이상 지연은 민감, 6~9일 지연은 중간, 5일 이하 지연은 둔감으로 구분


 야간불빛이 강할 경우 등숙불량 등으로 수량에 영향을 주어 10.1~20.0룩스일 경우 조생종인 흑진주벼는 10%정도 수량이 감소되며, 중만생종인 일품벼는 야간불빛에 민감하여 21%정도 수량이 감소된다(표 3).


 

  표 3. 야간조명에 따른 벼 품종별 수량

                                                           (단위 : ㎏/10a)

품 종 명

2.0 룩스이하

2.1~4.0 

4.1~6.0 

 6.1~10.0

10.0~20.1

흑진주벼

381(100)

366(96)

358(94)

350(92)

 

화 성 벼

526(100)

504(96)

483(92)

455(87)

 

일 품 벼

647(100)

618(96)

601(93)

544(84)

 

 주) (  )는 백분율 임.


  야간조명 피해는 야간조도 및 품종은 물론 광질에 따라서도 다른데 조명등 종류에 따른 벼의 출수까지 일수는 나트륨등 109일, 수은등 118일, 백열등 116일로 나트륨등의 피해가 적은 편이다.


4. 피해 예방대책

  야간조명의 피해를 일으키는 수준(5룩스)이하로 밝기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며, 벼는 특히 이삭패기전 7~40일경(6월 하순~8월 중순)에 피해가 크므로 이 시기에 불을 끄거나 불빛의 밝기를 낮춘다. 또한 조명등의 불빛 방향을 작물의 반대쪽으로 향하게 하거나 각도조절 및 등에 갓을 씌워서 작물에 빛을 적게 쪼이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만생종의 벼품종보다는 조생종의 벼품종을 선택하거나, 가급적 빛에 둔감한 품종을 재배하고, 가능하다면 고추, 토마토, 강낭콩, 잎들깨 등과 같이 피해가 적은 작물을 선택 재배한다.

 

자료문의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김충국 (전화 : 031-290-6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