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농업기술/화학비료 절감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시비량 재설정

강소농 등대 2008. 12. 7. 11:05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시비량 재설정


1. 개발 목적

○ 생산량 위주의 시비량에서 품질 중심의 표준시비량 필요

 ○ 과다시비에 의한 토양환경 및 지하수 오염 개선

 ○ 균형시비에 의한 생산비 절감 및 안정생산 지속


2. 개발 내용

 ○ 시비량 재설정(성목, 화산회토 기준)

  - 질소 : 기존 280(100) → 재설정 230kg/ha(82.1)

  - 인산 : 기존 400(100) → 재설정 200kg/ha(50)

  - 칼리 : 기존 280(100) → 재설정 190kg/ha(67.8)

 

비료시험포장

   


 ○ 영양 생리장애 진단 및 대책 : 질소, 칼륨, 마그네슘, 망간, 아연, 구리 등

 ○ 시비량이 품질, 수량 및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조사

3. 적용시 효과

○ 화학비료 절감 : 34.5%, 53억원/년

품질(당산비) 향상 : 기존 7.77(100)→개선 9.22(118)

해거리 폭 감소 : 기존 31.3%→개선 25.5%

 ○ 비료 유실량 감소로 지하수 및 해양 오염 감소

 ○ 토양내 양분 함량 균형으로 수세 안정 및 생리장애 발생 방지

   

(시비량별 과실 당도와 산함량에 미치는 영향)


4. 개발기술의 활용 방법

 ○ 화산회토 과원의 성목기준 질소, 인산, 칼리의 표준시비량은 성분량으로 23, 20, 19 kg/10a 이므로 시비시는 사용하는 비종에 따라 환산하여 시용한다.

 ○ 농업기관에서 토양 내 양분함량을 정확히 검사한 후 적정 함량일 경우 적용한다. 만일 적정치 보다 높거나 낮으면 별도의 처방전을 받아야 한다.

 ○ 삼요소 중 칼륨성분이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적정치인 0.5~0.7cmol/kg 보다 일반적으로 높으므로 과감히 줄여 나가야 한다.

 ○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이 낮은 경우 고토석회를 300평당 연간 100kg 이내로 시용하면서 서서히 개량해 나간다.

 ○ 결핍증상이 나타날 경우 전문가의 진단으로 정확히 판단하여 엽면 또는 토양시비를 별도로 시용한다.


(기술개발자 :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 감귤시험장 한승갑, 064-741-2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