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목별 영농정보/축산

퇴비화 공정을 이용한 돈분슬러리 처리방법

강소농 등대 2008. 12. 15. 08:55

퇴비화 공정을 이용한 돈분슬러리 처리방법


1. 개발 목적

○ 미확립된 양돈분뇨(슬러리)의 자가처리 방법을 개선

    - 퇴비화 : 양돈농가 대부분이 보유하고 있으나 가동율 저조

    - 액비화 : 악취 및 성분 불균일 등으로 경종농가 수요 저조

    - 정  화 : 시설 및 운전비 과다, 운전의 전문성 등으로 농가 이용성 제한

○ 기 농가에 보급된 퇴비화 시설을 개조하여 양질의 액비생산


2. 개발 내용

 ○ 기존 퇴비화시설의 바닥에 물빠짐틀을 설치하여 퇴비단(톱밥+왕겨)을 여과(filtering) 기능으로 활용

 ○ 상단부에서는 퇴비생산과 하단부에서는 무취․균질․저농도의 양질 액비 생산

 ○ 액비 과잉 생산 시 저비용 정화처리

 ○ ‘퇴비화+액비화+정화+바이오가스’ 복합처리로 에너지 생산

<SCB 시설 - 바닥개조 및 상층교반>

3. 적용시 효과

 ○ 기존 양돈분뇨 처리 방법(퇴비화, 액비화, 정화) 문제 개선

    - 오염성분제거 : BOD 99%, SS 98%, TN 82%, TP 60%

    - 액비 발생량 : 슬러리 투입량의 60%

    - 기존 퇴비화시설 정상가동 및 톱밥 85% 절감 

 ○ “저농도 액비화 + 정화처리” 방법 시 해양투기에 비해 경제성 인정

<무취,균질 SCB액비>

<벼 균일생장>

<시설상추 재배>


4. 개발기술의 활용 방법

 ○ 작물재배 이용 시 화학비료와 대등한 효과가 있음

 ○ 농경지 이외 수목, 골프장, 간척지 시용 가능

 ○ 바이오가스 생산 및 정화처리와 효과적 연계

 ○ SCB 액비 비료성분                              (단위 : ㎎/ℓ)

N

P

K

1,000

300

3,000


(기술개발자 :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박치호031-290-1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