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자리가 필요 없는 벼 기계이앙 앞마당 육묘기 술
못자리가 필요 없는 벼 기계이앙 앞마당 육묘기술
1. 개발 목적
○ 못자리 육묘는 운반, 치상 및 육묘관리에 노력시간 소요 및 힘이 많이 들고, 육묘공장 육묘는 시설비가 많이 소요되어 일반화에 어려움이 많음
○ 중소농가에서 힘들게 못자리를 만들지 않고 앞마당 등 빈 공간에 간편하게 모를 키울 수 있는 간편 생력 저비용 육묘장치
2. 개발 내용
○ 특징 : 조립식 ○ 선반규격 : 가로 152, 세로 63, 높이 147cm ○ 선반단수 - 6단 : 24상자(간격 27cm) - 7단 : 28상자(간격 23cm) ○ 이앙면적 : 240~280평/대 ○ 가격 : 25만원/대 |
○ 이앙당시 묘소질
육묘방법 |
초 장 (cm) |
엽 수 (엽) |
건물중 (mg/본) |
결주율 (%) |
앞마당육묘기 |
15.8 |
2.5 |
12.4 |
3.3 |
부직포못자리 |
14.8 |
3.1 |
18.6 |
3.0 |
○ 시설비 절감 : 육묘시설, 온풍기 시설(육묘시설 197평기준)
- 자동화시설 육묘공장 102,139 천원, 앞마당육묘기 58,635 천원
○ 육묘노력 절감 : 모판설치, 치상, 육묘관리
- 자동화시설육묘 16.8시간, 못자리육묘 36.7시간, 앞마당육묘기 15.4시간/ha
○ 관개수 절감 : 300상자 기준
- 자동화시설육묘 15.0kℓ, 못자리육묘 19.6kℓ, 앞마당육묘기 3.5kℓ
3. 적용시 효과
○ 모 육묘공장 대비 시설비 43%, 육묘노력 8%, 관개수 77% 절감
○ 못자리 육묘 대비 육묘노력 58%, 관개수 82% 절감
○ 벼 육묘후 건조대(고추 등), 운반대, 공구보관대 등 타용도 활용가능
4. 개발기술의 활용 방법
○ 설치방향 : 남 북(육묘기사이 간격을 띄우는 것이 좋음)
○ 모상자 치상 : 출아후-반드시 들뜨기를 제거 후 치상
(파종후 직상은 출아가 불균일함)
○ 보온덮개 씌우기 : 치상후
○ 녹화 : 보온덮개를 씌운채 녹화시킨다.
○ 보온덮개 벗기기 : 온도에 따라 다르나 녹화후 바로 벗김
○ 물관리 : 2~3일간격 관수
○ 육묘기간
- 1모작 : 파종 → 싹틔우기 → 탑재 후 육묘관리(20일), 20~25
- 2모작 : 파종 → 싹틔우기 → 탑재 후 육묘관리(15일), 15~20
○ 저온 등으로 보온덮개를 벗기는 시기가 늦을 때는 부직포의 차광율이 높아 모가 연약하게 자랄 우려가 있음
(기술개발자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벼생태육종과 김상열, 055-350-1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