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목별 영농정보/사료작물

경종농가와 연계한 청보리 생산 가축 사료화

강소농 등대 2008. 12. 31. 09:41

경종농가와 연계한 청보리 생산 가축 사료화

1. 개발 목적

○ 조사료 수요량 : ('06) 4,222천톤 → ('10) 4,683 → ('12) 5,790

조사료 재배면적(100천ha) 확대 : 축산농가부담 약 2,000억원 절감 가능

○ 벼 재배농가의 답리작 조사료생산을 위한 청보리 재배 소득보전

2. 개발 내용

 ○ 다수확 우량 청보리 전용품종 보급 확대 : 1.5천톤('08) → 20천톤('11)

 ○ 청보리 전용품종 및 작부체계 개발 : 청보리 품종 7종('07) → 15종('15)

 ○ 대규모 조사료 생산 유통 조직 지원

   - 청보리 생산을 위한 수확비용 지원 : 60천원/톤(기금 60, 지방비 40)

   - 기계장비 구입비 지원 : 150백만원(기금 40, 지방 40, 자담 20)

   - 장거리 운송비 지원 : 60천원/톤(기금 50, 자담 50)

 ○ 생산실명제 도입 및 품질 평가 : 우수 경영체 포상

    

    < 경종농가 청보리 생산 수확>     <청보리 수확 사일리지 조제>

   

   <청보리 곤포사일리지 조제 저장>    <청보리 사일리지 가축급여>

3. 적용시 효과

 ○ 소득작목으로 청보리 재배 및 이용확대

    - 859ha('03) → 12천('07) → 25천('08) → 100천('12)

 ○ 청보리 사료화로 양질 조사료 이용 수요 충족

 ○ 보리수매 감소에 따른 경종농가의 소득보전

 ○ 가축 급여를 통한 생산비 절감

    - 청보리 사일리지 거세한우 급여 : 배합사료 10% 절감

    - 청보리 위주 섬유질 배합사료 급여 : 사료비 28% 절감

    - 젖소 착유우 급여효과 : 사료비 13% 절감, 소득 20% 향상

 ○ 사료가치가 우수하여 배합사료 및 수입 조사료 대체

   - 조단백질(7.1%), NDF(53.3%), ADF(32.0), TDN(63.6)

구 분

가격(원/kg)

총체보리 대비

(TDN기준)

원 물

건 물

TDN

청보리

톨페스큐 건초

클라인 건초

티머시 건초

연맥 건초

알팔파 건초

120

340

375

425

380

360

300

378

417

472

422

400

469

590

684

787

715

625

100

126

146

168

152

133

4. 개발기술의 활용 방법

 ○ 경종농가와 연결체 간의 유기적인 협조로 생산 및 이용 확대가 필요함

 ○ 조사료 최대 안정생산을 위한 청보리 파종 및 시비량

    - 파종량 : 220kg/ha,  - 적정 시비량 : 곡실용 보다 30% 증비

 ○ 청보리 사일리지 품질향상을 위한 수확적기

   - 생산량, 사일리지 품질, 탈립 등을 고려하여 호숙기~황숙초기

   - 청보리용 미생물 첨가제 개발 : 사일리지 품질 3→ 2등급 향상


(기술개발자 :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김원호, 김종근, 041-580-3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