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목별 영농정보/재해관리

가을철 재해대비 농작물 관리대책

강소농 등대 2011. 10. 18. 10:03

가을철 재해대비 농작물 관리대책

 

우 박

 

과수

상처부위를 통한 2차 감염피해 예방을 위한 살균제를 살포하고, 낙엽이 심한 과원은 잎의 활력이나 수세회복을 위한 요소 0.5%액 엽면살포

피해가 심한 과실은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조기 수확이나 가공용으로 활용

❍ 우박이 내린 직후에는 피해를 과대평가할 수 있으므로 2~3일 정도 포장을 관찰한 후 생육관리 필요

    

무․배추

병균침입을 예방하기 위해 살균제 살포(5~7일 간격 1~2회 살포)

❍ 생육부진 포장 엽면시비 및 추비시용으로 생육회복

 

 

저온․서리

                              

☐ 밭작물

❍ 가을재배에서 서리피해가 우려될 경우에는 피해 발생전 수확

❍ 비교적 날씨가 따뜻한 남부 해안지방에서 가을재배 수확시기를 연장하고자 할 때는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 등을 이용하여 막덮기 실시

❍ 서리피해 우려시 톱밥이나 왕겨 등을 태워 포장의 온도를 높여주는 연소법 실시

❍ 피해 받은 식물체는 곁가지 발생이 많아 정상 식물체보다 연약하고 쉽게 도복되므로 잎줄기 생장기에 칼슘제와 영양제를 엽면 살포하여 강건한 생육을 오랫동안 유지

 

과수

<사과>

사과는 동결점(-1.0~-2.5℃)보다 약간 낮은 온도에서는 과실의 피해가 경미하나, -7~-10℃에서는 몇 시간 만에 심각한 장해가 발생

‘후지’ 사과의 착색불량에 따른 수확기 지연은 이상기상에 의한 갑작스런 저온피해를 받을 우려가 있으므로 너무 늦게 수확하지 않도록 관리

<단감>

가을철 성숙기 전후에 서리가 내리거나 저온(-2.1℃)이 경과하면 단감 과수원에 피해 발생가 발생하므로 피해 우려가 있을 경우 훈연 또는 연무법, 가열법, 송풍법 등으로 찬공기가 과원내 장시간 정체되는 것을 막아 저온피해 경감

조기 수확한 과실 중 피해가 경미한 과실은 조기 출하하고, 저장한 정상과실도 연화정도를 자주 점검

가을무․배추

❍ 생육부진포장은 엽면시비로 생육촉진 및 병해충 방제 철저

비닐, 짚, 부직포 등을 밭가에 미리 준비하였다가 갑작스런 한파 내습시 피복으로 저온피해 예방

시설채소

정식된 하우스 내부로 찬바람이 직접 들어오지 않도록 문을 닫아 주어 저온피해 예방

 

  축산

방목중인 가축은 가능한 축사 내에서 사양하여 갑작스런 저온과 기온차로 인한 호흡기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관리

미지근한 물을 많이 급여하고 양질의 사료와 농후사료를 적당히 먹여 저온에도 영향을 받지 않도록 관리

축사내로 찬바람이 직접 들어오지 않도록 문을 닫아 주거나 비닐을 쳐서 샛바람으로 인한 피해 예방

일교차가 커짐에 따라 어린 가축의 설사병 및 호흡기질병 발생우려되므로 기온이 떨어지는 밤에는 어린 가축의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보온 관리

❍ 기타 호흡기질환에 걸렸을 경우에는 신속히 치료

 

 

강 풍

 

❍ 돌풍에 의한 시설물피해 대비 시설하우스 하우스 고정끈 보강

비닐파손시 시설작물 저온피해를 최소화기 위하여 부직포, 비닐 등을 준비하여 보온대책 강구

❍ 부직포, 커튼, 터널 등 보온덮개를 보강하여 보온력 증대

바람이 강하게 불 때는 환기창을 모두 닫고 설치된 환풍기 가동으로 골조와 비닐을 밀착시켜람피해 예방

비닐이 찢어진 부분은 빨리 보수하여 저온이나 바람피해를 받지 않도록 주의

노후화된 시설 수시로 안전점검 실시 및 돌풍발생시 붕괴가 우려되는 시설 접근금지로 안전사고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