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대비 농작물·시설물 관리요령
태풍대비 농작물·시설물 관리요령
벼 |
○ 수확기 벼는 태풍오기 전 조기수확 실시
○ 침관수 대비 배수로 물꼬 및 논두렁 정비 실시
○ 침수된 논 일찍 물 빼기 실시(수발아 억제)
○ 수확기에 쓰러진 벼는 조기수확 실시
밭작물 |
○ 밭작물은 배수구를 정비하여 사전에 습해를 예방
○ 잡곡, 콩 등 밭작물은 지주시설 설치 및 보강으로 쓰러짐 피해
예방
○ 태풍 통과 후 병해충 방제 및 이병주를 제거
채소·특작 |
〈사전대책〉
○ 무, 배추는 배수구를 정비하여 물이 고이지 않도록 사전 정비
○ 붉은 고추는 빨리 수확
○ 들깨는 사전에 지주대를 설치하여 쓰러짐을 예방
○ 인삼포장은 배수로 관리를 철저히 하여 침수를 예방하고, 노후
시설은 쓰러지지 않도록 나무, 철재 등 자재로 보강
〈사후대책〉
○ 고추, 들깨 등 쓰러진 포기는 세워 주고 줄지주 보강
○ 태풍이 통과후 들깨포장은 신속히 물 빼기 실시
○ 무너진 인삼시설은 빠르게 복원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인삼
전용 살균제를 살포하여 인삼포장내 병해 발생 예방
과 수 |
〈사전대책〉
□ 나무관리
○ 나무마다 튼튼한 지주를 세우고, 지주상단에 인근나무 지주와
연결하여 십자모양(메트릭스 형태)으로 고정시킴
○ 늘어진 가지는 우산식지주를 세워 고정시켜 주거나 버팀목 등을
세움
○ 태풍오기전 수확기에 접어든 과실은 조기수확 실시
○ 웃자란 가지는 없애거나 휨으로써 나무 사이로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함
□ 과수원 주변 환경관리
○ 바람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간이방조망(크기 3×3㎝) 설치함
○ 우산식지주 설치된 농가는 지주, 끈 등을 단단히 고정시킴
○ 바람이 심한 과원은 주풍향 방향에 방풍수 및 방풍망 점검
○ 방조망 및 방풍망이 설치된 과원은 유인끈 등을 지주에 단단히
고정함
○ 바람이 심한 곳은 내풍성 재배체계인 저수고 밀식재배로 전환
〈사후대책〉
□ 도복, 가지절단 낙과 및 잎 파손 피해를 입은 나무
○ 태풍 통과 후 쓰러진 나무는 바로 일으켜 세우고, 찢어진 가지는
제거후 약제를 살포하여 병해의 침입을 방지하고 큰 가지를 자른
부위는 지오판 등의 도포제를 바름
○ 부러진 가지는 절단면이 최소화 되도록 자른 후 보호제를 발라줌
○ 상처부위로 2차 병원균 침입방지를 위하여 살균제를 살포함
○ 태풍에 의하여 잎이 많이 손상된 나무는 수세회복을 위해 요소
(0.3%), 4종복비 등을 엽면시비함
○ 낙과된 과실은 모아 묻거나 치워줌
○ 도복으로 뿌리가 50% 이상 절단된 나무는 겨울 전정시 강전정
하고, 이듬해 잎이 작고, 새가지가 짧은 나무는 과실을 제거한 후
회복정도를 판단하여 경제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나무는 묘목으로
보식함
축 산 |
○ 물에 잠겼던 축사는 물로 깨끗이 씻어 낸 후 소독을 철저히 해
주고, 각종 기구는 일광소독 작업 추진
○ 집중호우 후에는 가축의 수인성 전염병 발생이 우려되므로 급수
기를 수시 청소하고 축사 소독과 예방접종
○ 비바람으로 쓰러진 사료작물은 비가 그친 후 곧바로 베어서 담근
먹이로 하고, 후작으로 연맥(귀리), 유채 등 사료작물을 파종
○ 땅이 질고 습한 경사 초지에서는 일정기간 방목을 중지하고 목초피해
및 토양 유실 방지
○ 축사의 습도 증가는 에너지 소모를 현저히 증가시켜 가축의 생산
성을 저하시키므로 충분한 통풍 환기 및 수시 분뇨 제거로 유해가스
발생방지
○ 오물 확산 방지를 위한 퇴비사 및 분뇨처리장 점검
○ 전염병 등 질병 발생시 방역기관 신고 및 방역 등 신속한 조치
○ 전염병에 의한 폐사축은 방역관의 지시에 따라 소각 또는 매몰
○ 축사주변 배수 및 소독 철저로 질병 전파방지
농업시설물 |
〈사전대책〉
○ 비닐하우스는 하우스 끈으로 단단하게 묶고, 환풍기가 있는
경우에는 가동시켜 피복된 비닐이 골조에 밀착되도록 함
○ 태풍에 의해 골조가 파손될 것이 확실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신속하게 비닐을 찢도록 한다. 비닐 찢기는 바람이 부는 반대
방향부터 찢어야 쉽게 작업을 할 수 있음
○ 하우스 주변 배수로 정비로 신속하게 물빼기 작업
〈사후대책〉
○ 피복한 비닐 및 피해가 경미한 기자재 등은 오물을 제거하고,
깨끗한 물로 씻어 줌
○ 복구가 가능한 하우스는 신속히 복구하고, 복구가 불가능한
하우스는 가능한 일찍 철거
○ 양액재배 시설 침관수 시 베드 청소 및 소독 실시 후 양액공급
또는 작물재배
○ 침수 등으로 정화가 불량한 축산분뇨 처리시설은 즉시 보완
○ 물에 잠겼던 농기계는 전문 수리요원에게 점검을 받은 후 작동
여부를 확인후 사용
* 자료 :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