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작물 봄철 관리 요령
□ 동계작물의 봄철에 예상되는 습해와 가뭄 대책
○ 습해 우려 포장 관리
- 식물체가 황화현상을 보이면 물 빼기를 잘 해 뿌리의 활력을 좋게 하고, 요소
2%액(요소비료 400g, 살포량 100L/10a)을 2∼3회 뿌려주어 조기 회복 유도
- 특히 논 포장 등 배수가 불량한 곳은 양쪽에 보머리를 트고, 배토기 등을 이용
하여 배수구를 재정비하여 습해를 예방
* 생육재생기 웃거름 시용 시 배수구 정비 동시 실시로 노동력 절감
○ 가뭄피해 우려포장
- 배수구 작업을 겸한 중경제초 작업으로 겉흙에서의 수분증발을 줄임
- 줄뿌림 포장은 물을 흘러 대고, 휴립광산파 포장은 헛 골에 물을 댄 후 즉시
빼 줌
- 가뭄이 심한 소규모 경사지 밭은 이동식 스프링클러를 이용하여 물을 대 줌
○ 토양 진압으로 서릿발과 말라죽는 피해 예방
- 많은 강우와 토양 과습에 따른 봄철 서릿발로 인해 뿌리가 솟아올라 발생하는
말라죽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 해빙과 동시에 봄철 배수로를 설치하고 진압
(맥류 진압기 이용)하여 피해를 예방 필요
□ 웃거름은 수량증수 효과가 높음
○ 노력절감을 위해 웃거름을 전량 1회 주어도 좋으나, 사질토양이나 생육이 부진한
포장은 두 번으로 나누어 줌
< 첫 번째 > 재생기로 판정될 때 4.5 ∼ 6.0kg 시용
< 두 번째 > 첫 번째 시용 20일 후에 4.5 ∼ 6.0kg 시용
□ 효율적인 봄철 생육 중 잡초관리로 일손 절감
○ 냉이 등 광엽 잡초(3∼5엽기)가 많이 발생한 포장
⇒ 벤타존액제(약량 300㎖, 살포량 100L/10a) 처리
○ 둑새풀 등 벼과 잡초(2∼3엽기)가 많은 포장
⇒ 티펜설퓨론메틸입상수화제(약량 7g, 살포량 120L/10a) 처리
* 한 가지만 선택하고 제초제 처리 후에는 김매기나 흙넣기 작업을 하지 않음
< 제초제 사용할 때 유의할 점 >
○ 사용량 준수 ⇒ 약량이 적으면 효과가 적고, 많으면 피해 발생
○ 배수구 정비 ⇒ 침수되면 약해가 발생하고 약효가 떨어짐
○ 모래땅에는 사용주의 ⇒ 약해가 발생하기 쉬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