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소농 등대 2016. 5. 12. 11:07

적기 모내

 

<지역 및 지대별 완전미 수량을 위한 이앙적기>

지역

지 대

이앙적기(.)

최적 이앙기(.)

조생종

중생종

중만생

조생종

중생종

중만생

 

중부

중북부내륙 평야지(춘천, 연천)

6. 46. 10

5.185.24

5.155.21

6. 7

5.21

5.18

중부평야지(수원, 화성, 청원)

6. 96.14

5.276. 2

5.155.21

6.12

5.30

5.18

중간지(철원)

5.215.27

5. 85.14

-

5.24

5.11

-

중산간지(제천)

5.195.25

5. 85.14

-

5.22

5.11

-

해안지(남양, 강릉)

6. 26. 8

5.205.26

5.105.17

6. 5

5.23

5.13

호남

평야지(익산, 대전, 예산, 김제, 나주)

6.136.19

6. 36.10

5.276. 5

6.16

6. 7

6. 1

중간지(임실)

6. 56.11

5.286. 3

5.256. 1

6. 8

5.31

5.28

해안지(계화, 해남)

6.156.21

6. 96.15

6. 16. 7

6.18

6.12

6. 4

영남

평야지(밀양, 대구, 진주)

6.136.19

6.116.17

6. 56.11

6.16

6.14

6. 8

중간지(안동, 함양)

5.286. 4

5.215.27

5.195.25

6. 1

5.24

5.22

중산간지(상주)

5.256. 1

5.145.20

5.105.17

5.28

5.17

5.13

냉조풍지(영덕)

5.115.17

5. 95.15

5. 75.13

5.14

5.12

5.10

   이앙적기 추정 : 완전미 수량을 위한 최적 출수기와 각 지역 지대별, 숙기별 대표 품종의 출수 생태특성

                                      으로 산출

 

지역별 알맞은 품종을 적기 이앙하면 수량 확보와 미질 향상에 유리

이앙 최적기 보다 10일 빠르거나 10일 늦어지면 완전미 수량이 감소하고 백미

    중 분상질립이 증가하며 품질이 급격히 떨어짐

 

<너무 일찍 모내기 할 경우>

육묘할 때 냉해와 모내기 때 온도가 낮아 초기 생육지연이 우려됨

영양생장기간이 길어 양분 및 물의 소모량이 많고, 후기 잡초발생량이

    많아 잡초방제를 한 번 더 해야 함

무효분얼이 많아져 통풍이 잘 안되어 병해충의 발생이 늘어남

너무 일찍 모내기를 할 경우 고온기 등숙에 따른 호흡 증가로 벼 알의 양분소모가

    많아지고 동할미(금간쌀)가 늘어나 미질이 떨어짐

  * 등숙 적정온도 : 2022(출수 후 40일간 평균온도)

 

<너무 늦게 모내기 할 경우>

충분한 영양생장을 하지 못하여 벼 알 수가 적고 수량이 줄어듦

늦게 심을 경우 심복백미의 발생률이 급격히 높아져 미질이 저하됨

가을에 저온이 빨리 오면 등숙률과 품질이 떨어질 우려가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