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목별 영농정보/인삼약초

5월 하순 인삼포장 관리기술

강소농 등대 2016. 5. 24. 10:44

5월 하순 인삼포장 관리기술

 

인삼포 생리(염류)장해 경감을 위한 물주기 요령

- 토양 중 염류농가가 증가하면 너무 높아 세근(물뿌리)의 기능이 약화되어 잎의 황화, 조기낙엽, 적변 및 뿌리부패 등의 생리장애 증상이 나타남

- 생리장해가 우려되는 포장이나 씨앗의 결실 불량이 우려되는 포장에서는 부초(짚이엉)를 덮어 토양수분을 보존하고 물주기를 해줌

·황화현상 발생지 : (90× 180) 8~10L

·기타 포장 : 90× 1804~8L

 

인삼 병해충 방제 

   인삼은 생육시기나 생육상태, 지역별로 병의 종류와 발생 양상이 다르므로

   병해충 방제에 철저를 기해줌

 

- 점무늬병

    5월 이후 줄기, , 열매에서 발병하며 발생 경감을 위해서는 빗물이 두둑위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포장 내 통풍이 잘 되도록 관리해야 하며, 습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해주고, 등록약제인 아족시트로빈, 보스칼리드, 피리메타닐, 디페노코나졸 등으로 예방적 방제를 실시해줌

 

- 잿빛곰팡이병

  인삼의 뿌리, 뇌두, 줄기, , 열매 등 모든 부위를 가해하며 피해가 매우 크며 고온과 다습한 조건에서 발생이 증가하므로 고온장해로 잎이 괴사되지 않도록 포장과 차광망을 관리해야 하며 회색곰팡이가 생겨난 감염조직은 재배포장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처리하고 발병포장은 카벤다짐디에토펜카브, 펜헥사미드 등을 살포하여 방제해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