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목별 영농정보/재해관리
2019년 폭염 전망과 품목별 피해증상 및 대책
강소농 등대
2019. 5. 29. 09:59
2019년 폭염전망과 품목별 피해증상 및 대책
<폭염 전망>
○ 여름철 평균기온이 평년(1981〜2010년) 보다 조금 높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평균 폭염일수도 10.5일 이상 발생할 것으로 전망
* 전년 폭염 상황 및 집중기간 : 전국 평균 31.4일(평년 9.8일), 7.12.∼8.16.(36일)
<폭염 피해증상 및 관리대책>
○ (벼) 불임장해(감수분열기∼개화․수정기), 등숙률 저하 및 수량 감소
→ 물을 깊게 관수, 고온에서 흡수가 억제되는 규산과 칼륨을 증시
○ (밭작물) 콩 꼬투리 형성 저해, 고구마 잎·줄기만 생장하여 비대 불량
→ 비닐피복재배, 스프링클러로 관수하여 지온상승 억제
○ (채소) 칼슘결핍증, 호흡과다에 의한 식물체 웃자람, 시들음 증상 발생
→ 주기적인 관수, 유기물 시용, 염화칼슘 및 제4종 복합비료 엽면시비
○ (과수) 햇볕 데임, 과실비대 및 당도 저하, 착색불량 등
→ 미세살수장치 스플링클러 이용 주기적 관수, 방상 선풍기 가동 등
○ (축산) 30∼35℃의 고온이 12일간 지속되면 증체량, 산유량 등 감소
→ 적정 사육두수 유지, 차광막·그늘막 설치, 안개분무·스프링클러 가동
* 자료 : 대전광역시농업기술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