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드문모심기 재배기술 도입 농가 경제성 분석 결과
최근에 벼 재배 시 드문모심기를 하는 농가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전북지역에서 드믄모심기를 할 경우 경제적으로 얼마나 유리한지
경제성 분석에 대한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알려 드립니다.
□ 배경
○ 전북 논벼 생산 투입 노동시간에서 파종, 육묘, 이앙작업에 투입되는 노동시간(2.46시간/10a)은
전체 노동력 투입시간(8.36시간/10a)의 29.4%임
* 벼 드문모심기는 파종량을 늘이고, 재식주수와 재식본수를 줄여(모판 소요량 10개 내외)
노동력 및 생산비를 절감하고자 하는 재배 기술임
- 재식주수 : 관행 70~80주/3.3㎡ → 드문모심기 60주 이내/3.3㎡
- 재식본수 : 3~5본/주
□ 개발된 영농기술정보
○ 전북지역 벼 드문모심기 재배기술 도입 농가 경제성 분석 결과 드문모심기 재배기술 도입시
(재식밀도(주/3.3.㎡): 50주, 재식본수:3~5개) 10a당 추정 수익액은 5,854원임
- 전북지역 벼 드문모심기 재배기술 도입 농가의 평균 모 구입비용은 10a당 44,000원으로
표준(관행)재배 모 구입비용의 41.9% 수준임
- 전북지역 벼 드문모심기 재배기술 도입 농가의 이앙 대행비용은 10a당 52,938원으로
표준(관행)재배 대비 8.7% 비용 감소함
- 전북지역 벼 드문모심기 재배 조곡 생산량은 10a당 707㎏(2020년 기준)으로
관행대비 5.1% 감소함
자료 출처 : 농촌진흥청 농사로 농업기술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