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소농 육성 지원사업에 전국 4,000여 가족농 참여
□ 영농 규모는 작지만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춘 농업경영체가 소득을 올릴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뒷받침하는
‘강소농 육성 지원사업(이하 지원사업)’에 올해 전국 4,000여 중‧소규모 가족농이 참여한다.
* 강소농(强小農) : ‘작지만 강한 농업경영체’라는 뜻. 끊임없는 열정과 역량 개발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고소득을 올리는 중소 규모 가족농 중심의 농업경영체를 의미
□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2022년 강소농 육성 지원사업’이 전국 도(道) 농업기술원 및 시‧군 농업기술센터
153개소에서 4,012농가를 대상으로 본격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 강소농 육성 프로그램은 기초‧전문‧최고과정으로 나눠 단계별로 진행된다.
- 기초과정은 신규로 참여한 가족농을 대상으로 경영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춰 최신 농업기술 도입,
경영기록장 작성, 세무, 농식품 인증관리, 상표출원 교육을 진행한다.
- 전문과정은 기초과정을 이수한 강소농을 대상으로 한다. 사업 모형(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목표로 농장
경영환경 분석, 비즈니스 모델 적용, 단기 및 중장기 경영전략 수립, 소비경향을 반영한 판촉(마케팅)
프로그램으로 짜여있다.
- 최고과정은 지역 지도자 육성을 목표로 전문 과정 수료자 중 우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 올해 처음 강소농 육성 지원사업에 참여한 박동섭 씨(경기 포천)는 “농작물 생산에 대한 기본적 기술은
있지만, 농장 경영관리와 농작물 유통‧판매에 어려움이 많았다.”라며 “농업환경 변화에 발맞춰 경쟁력
있는 농업경영체로 성장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 전문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최미아 씨(전북 남원)는 “지난해 기초과정을 들으며 경영개선에 노력한 덕분에
농가소득이 약 20% 증대됐다.”라며 “올해는 새롭게 온라인마케팅을 시작하는 만큼 지속적‧안정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사업 본보기를 만들고 싶다.”라고 말했다.
□ 한편, 농촌진흥청은 지난 2011년부터 강소농 육성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1년 1만5,000여 농가에서
시작해 지난해까지 육성한 전국의 강소농 수는 8만7,000여 농가에 이른다. 지난 10년 사이 5.8배가량
늘어났다.
○ 특히 2019~2021년까지 최근 3년간 지원사업을 분석한 결과, 사업에 참여한 농업경영체의 경영 역량은
평균 23%가량 향상됐다. 농가소득도 평균 10.3% 정도 증대됐다.
□ 농촌진흥청 기술보급과 조은희 과장은 “2020년 기준 우리나라 농가 수는 103만 5,000 호이며,
호당 경지면적은 1.51헥타르로 작은 면적에서 다양한 작목을 재배하는 형태의 농업구조다.”라며
○ “규모의 한계를 넘어 작은 영농 규모에서도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도록 다양한 맞춤형 교육과
전문지도(컨설팅)를 추진해 중소규모 가족농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높여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붙임 1. 강소농 육성 지원사업
2. 2022년 신규 강소농 선정 현황
* 자료 출처 : 농촌진흥청 기술보급과(과장 조은희, 담당 이선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