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 피해 해충 제때 방제하세요
□ 올해 5~7월 기온이 평년(과거 30년 평균)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5월 국내 기온이 작년보다
높으면 옥수수를 가해하는 해충 발생 시기도 며칠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옥수수 파종이 끝난 이 시기에 옥수수에 발생하는 조명나방,
왕담배나방, 멸강나방 등 주요 해충 피해에 대비할 것을 당부했다.
□ 조명나방은 옥수수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대표적인 해충이다.
애벌레가 말린 잎에 숨어서 옥수수를 가해하므로 피해가 진행돼도 쉽게 알 수 없고,
제때 방제 시기를 놓치면 살충제를 처리해도 효과가 거의 없다.
○ 겨울을 나고 5~6월 출현한 성충이 옥수수 잎 뒷면에 알을 낳고 여기서 깨어난 애벌레가
옥수수에 피해를 주기 때문에 이 시기 애벌레 방제가 중요하다.
○ 애벌레가 많은 옥수수 9~11잎 시기에 인독사카브, 에토펜프록스, 클로란트라닐리프롤 등을
뿌려 방제한다. 카보퓨란과 같은 잔류효과가 긴 살충제는 6~7잎 시기(엽기)에 토양에 처리한다.
□ 왕담배나방은 성충이 이삭 수염 부근에 알을 낳고 알에서 깬 애벌레가 이삭 수염과
이삭 끝을 가해해 옥수수의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 월동 후 1화기 성충은 대체로 5월 말에서 6월 초에 발생하여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6월 말에서 7월 중순 사이에 발생하는 2화기 성충이 낳은 알이 문제가 된다.
○ 따라서 이삭 수염이 나오는 시기에 인독사카브, 클로란트라닐리프롤 등으로 애벌레를
방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왕담배나방 발생은 지역별 편차가 심하며, 이전에 피해가 많았던 지역에서는
특히 경계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2012년 강원도 평창에서 옥수수 수확 시기에 발생한
해충의 약 85%가 왕담배나방으로 밝혀졌다.
□ 멸강나방은 해외에서 국내로 날아 들어오는 해충이다.
1차 이동기인 3~4월보다 2차 이동기인 5~6월에 매우 많은 성충이 중국으로부터 들어와
옥수수는 물론 목초, 벼 같은 어린 볏과 작물의 잎에 큰 피해를 준다.
○ 옥수수 재배지의 애벌레를 관찰해 성충 발생 뒤 5~13일 사이에 인독사카브, 펜토에이트,
플루벤디아마이드 등으로 방제해야 한다.
□ 농가에서 약제를 사용할 때는 등록된 약제를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살포해야 한다.
작물별로 등록된 제초제와 살균제, 살충제를 비롯해 잠정등록 작물보호제와 관련된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psis.rd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윤종철 원장은 “해충은 제때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절한 방제 시기 외에 살충제를 쓰면 재배지의 천적을 죽여 오히려 피해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방제 시기와 약제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라고 말했다.
붙임. 해충에 의한 옥수수 피해
자료 출처 : 국립식량과학원 재배환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