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등이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농작물의 수확기에 접어 들면서 최근에 가로등이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에 대하여 문의하는 농업인이 증가되고 있어 다음과 같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1. 가로등이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은 ?
가로등에 의한 농작물의 반응은 광질(형광등, 백열등, 나트륨등), 광의 강도(밝기), 조명 시간, 조명의 방향, 농작물의 종류(벼, 콩, 참깨, 들깨 등)와 품종(칠보벼, 동진벼, 남평벼, 추청벼 등), 생육단계(유묘기, 출수기, 개화기, 성숙기 등)에 따라 반응이 각각 다르게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낮의 길이가 밤의 길이보다 길 때 꽃이 피고 열매가 맺는 식물(장일식물 : 보리, 시금치, 무 등)은 이삭패기(출수)․개화가 빨라져 충분한 영양생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피해를 받게 됩니다.
낮의 길이가 밤의 길이보다 짧을 때 꽃이 피고 열매가 맺는 식물(단일식물 : 벼, 콩 등)은 그와 반대로 출수․개화가 늦어지거나 출수․개화 자체가 되지 않아 피해를 받습니다.
낮과 밤의 길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작물(중일작물 : 고추, 토마토 등)도 있습니다.
2. 가로등 1개의 불빛이 농작물에 영향을 주는 거리는 ?
가로등이 농작물에 영향을 주는 거리는 가로등의 높이, 가로등의 방향, 광원의 밝기(와트, 룩스, 촉), 광원의 종류(형광등, 백열등, 나트륨등), 농작물의 종류(벼, 콩, 참깨, 들깨 등)와 품종(칠보벼, 동진벼, 남평벼, 추청벼 등) 등에 따라 각각 다릅니다.
따라서 얼마의 거리까지 피해를 준다고 단정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설치된 가로등은 높이가 8~10m, 광원은 나트륨등 또는 백열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벼와 콩은 가로등으로부터 20m 정도 까지 피해를 받을 수 있으며, 들깨는 빛에 특히 약하므로 그 이상 피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같은 벼라도 품종에 따라서 차이가 심하며, 조생종(숙기가 빠른 품종)보다 만생종(숙기가 늦은 품종) 일수록 출수가 지연되어 등숙이 불량해 지므로 피해가 큽니다.
3. 농작물의 피해 정도는 ?
앞에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농작물의 피해가 각각 다릅니다만 실험의 결과에 의하면 가로등으로부터 10m 정도 떨어진 지점에서(6~10룩스의 밝기) 벼는 16%, 콩은 43%, 참깨는 32%, 들깨는 94%의 수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주요 작물의 야간조도별 수량피해 정도
작 물 |
밝기별 수량 감소율(%) | |||
2.1~4.0 룩스 |
4.1~6.0 룩스 |
6.1~10.0 룩스 |
10.1~20.0 룩스 | |
벼 |
4 |
7 |
16 |
21 |
보 리 |
11 |
- |
20 |
27 |
콩 |
19 |
38 |
43 |
- |
참 깨 |
11 |
18 |
32 |
- |
들 깨 |
39 |
76 |
94 |
- |
○ 가로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별 밝기
가로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m) |
0 |
10 |
15 |
20 |
30 |
밝기(룩스) |
30~50 |
6.0~8.0 |
3.1 |
2.0 |
1.2 |
4. 피해 예방대책은 ?
○ 가로등의 불빛 방향을 농작물의 반대쪽으로 향하게 하거나 각도조절 및 등에 갓을 씌워 농작물로 빛이 적게 쪼이게 합니다.
○ 가능하면 고추, 토마토, 가지, 강낭콩, 잎들깨 등과 같이 피해가 적은 농작물을 재배합니다.
○ 광원을 백열등보다는 나트륨등으로 설치합니다.
○ 벼는 이삭패기 전 7~40일경(6월 하순~8월 중순)에 피해가 크므로 이 시기에 불을 끄거나 밝기를 어둡게 해줍니다.
○ 벼와 콩의 품종을 만생종 보다는 조생종을 재배합니다.
○ 들깨는 종실용의 품종보다는 엽전용 품종을 재배하여 잎을 수확 합니다.
--- 연 락 처 --- |
|
▪성명 : 김충국 연구관 ▪주소 : 경기도 수원시 서둔동 209번지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작물기술지원과 ▪전화 : 031-290-6866, 010-6656-0514 ▪팩스 : 031-290-6842 ▪메일 : kimcg@rda.go.kr |
'야간조명 > 야간조명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도한 야간조명 식물에 ‘공해’ (0) | 2008.11.18 |
---|---|
농업분야도 꿈의 광원 LED 주목 (0) | 2008.11.18 |
1/5의 전기세로 잎들깨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 (0) | 2008.09.08 |
4-5년 후 형광등 대체 가능한 고효율·친환경 LED 조명 (0) | 2008.09.02 |
LED 조명이란 ? (0) | 2008.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