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비작물을 이제‘풋거름작물’로 불러주세요! □ 녹비작물을 이제‘풋거름작물’로 불러주세요! □ 녹비작물(綠肥作物)의 ‘녹비(綠肥)’는 일본한자어 ‘りょくひ’(緑肥)의 한자표기를 우리말 한자음으로 읽은 것으로서 그 의미를 이해하기 어렵고 일본식 용어로 2014년 정부 차원의 일본식 법령용어 정비 시 우리말 표현으로 .. 친환경농업기술/녹비작물 2015.03.30
녹비작물 해충 ‘알팔파바구미’ 지금이 방제적기! - 친환경 농자재 ‘님+고삼추출물’ 방제가 가장 효과적 - 농촌진흥청은 자운영과 헤어리베치에 해를 끼쳐 수량(생체량)을 크게 감소시키는 알팔파바구미를 4월 하순에 친환경 농자재 ‘님(멀구슬) +고삼 추출물’로 방제했을 때 가장 효과적이라 밝혔다. 녹비작물은 자원 순환형 비료자원으로 화학비.. 친환경농업기술/녹비작물 2011.05.28
헤어리베치, 간척지 토양 개량에 적합하다 헤어리베치, 간척지 토양 개량에 적합하다 - 농진청 재배 염농도 0.1% 이하·파종량 10a당 3kg 적정 - 한국농어민신문 2011년1월6일자 (제2302호) 간척지 토양개량에 녹비작물인 헤어리베치가 적합한 것으로 보고됐다. 농촌진흥청 간척지농업과에 따르면 간척지 토양개량을 위한 유기자원으로 볏짚, 퇴비에 .. 친환경농업기술/녹비작물 2011.01.07
저탄소 녹색 생명산업을 이끌 녹비작물 저탄소 녹색 생명산업을 이끌 녹비작물 농촌진흥청 작물환경과 농업연구관 김충국 식량이 부족하여 보릿고개라는 굶주림으로 배고픔의 시절을 겪었던 것이 바로 엊그제 같은데 이제 쌀이 남아 골칫덩이가 되어 쌀 소비를 고민해야 하는 즐거운 후유증에 휩싸여 있는 것 같다. 한편으로는 건강 식품.. 친환경농업기술/녹비작물 2010.09.30
농진청, 헤어리베치 이용기술 활용 종합 자료집 발간 농진청, 헤어리베치 이용기술 활용 종합 자료집 발간 - 화학비료 줄일 수 있어 친환경농업 지침서로 기대 - □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식량작물의 친환경 재배를 위한 헤어리베치 이용기술 활용 자료집을 발간했다. ○ 헤어리베치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녹비작물 중에서 비료효과가 가장 .. 친환경농업기술/녹비작물 2010.07.29
녹비작물 뒷그루 벼는 중생종이 최고! 녹비작물 뒷그루 벼는 중생종이 최고! - 화학비료 줄이고 고품질 친환경쌀 생산에도 유리 -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헤어리베치와 같은 콩과 녹비작물을 이용한 벼농사에 알맞은 벼 품종으로 화학비료도 최대한 줄이고 고품질 친환경쌀 생산에도 유리한 중생종 벼를 추천하였다. □ 이처럼 농촌.. 친환경농업기술/녹비작물 2010.04.30
쌀농사용 녹비, 제때 적당량 넣어야 좋아 쌀농사용 녹비, 제때 적당량 넣어야 좋아 - 벼 이앙 2주전 2톤가량의 콩과녹비작물 환원이 적당 - □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헤어리베치와 자운영 등의 콩과 녹비작물로 화학비료를 최대한 절약하고 고품질의 친환경쌀을 생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농업인께 녹비의 논토양 환원시기와 환원량을 지.. 친환경농업기술/녹비작물 2010.04.30
경관겸용 녹비작물 이른 봄에 파종하면 효과 5배 경관겸용 녹비작물 이른 봄에 파종하면 효과 5배 최근 친환경농업과 농산물 안정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대와 화학비료 가격 상승, 농촌관광 및 지자체별 문화행사를 위한 농촌경관 조성 등으로 인하여 녹비작물의 재배면적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영향으로 녹비작물은 단순하게 푸른 식.. 친환경농업기술/녹비작물 2010.03.31
농진청, 유기농업이 온실가스 배출 줄여 농진청, 유기농업이 온실가스 배출 줄여 2010년 03월 02일 17시 33분 (수원=연합뉴스) 신영근 기자 = 퇴비와 녹비 등 유기물을 지속적으로 뿌려줄 경우 토양이 탄소를 축적해 온실가스 배출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10년 동안 유기농업 연구포장에서 유기물인 볏짚퇴비와 녹색비료.. 친환경농업기술/녹비작물 2010.03.03
'욕지고구마’웰빙 친환경재배 길 열려 ‘욕지고구마’웰빙 친환경재배 길 열려 - 농진청․통영시농업기술센터, 화학비료 대신 녹비작물로 욕지고구마 생산 성공 - □ 경남 통영의 ‘욕지고구마’가 화학비료 없이 생산되는 길이 열리면서 제2의 전성기를 맞게 되었다. □ 경남 통영시 욕지도에서 23,000㎡ 고구마 농사를 짓는 욕지고구마작.. 친환경농업기술/녹비작물 2009.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