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목별 영농정보/온실가스, 탄소중립 2

탄소중립 실현 위한 ‘보급형 자동물꼬’ 선보여

□ 농축산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8년 기준 2,220만 톤으로 국가 전체 배출량의 약 3퍼센트를 차지한다. 농촌진흥청은 2050 탄소중립 실현 목표에 따라 이 가운데 30.6퍼센트를 줄이기 위한 농업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 2,220만 톤 대비 680만 톤 감축량(감축 후 배출량 1,540만 톤) ○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기후변화 주간을 맞아 4월 25일 국립식량과학원 논 재배지(전북 완주군)에서 농업 분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보급형 자동물꼬 시연회를 개최했다. * 기후변화 주간: 매년 4월 22일(지구의날)부터 28일까지를 기후변화주간으로 지정하여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실천을 유도하는 캠페인이 진행됨. ○ 벼 재배를 할 때 지속적인 담수(湛水)를 하지 않고..

온실가스 배출 줄이는 벼 재배기술 현장 보급 시동

□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농식품 분야 2050 탄소중립 정책 지원의 일환으로 올해 전국 10개소에서 ‘저탄소 식량작물 재배기술 현장 확산 모델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 시범사업 대상은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농경지 온실가스 저감 기술의 현장적용이 가능한 각 지역의 재배단지, 작목반, 연구회, 농업법인 등 벼 재배를 전업으로 하는 농업인 단체이다. - 시범사업 대상지에는 논물 관리기술을 중심으로 △농경지 바이오차(Biochar)* 투입 △논물 관리기술(자동물꼬) △논 이용 밭작물 재배 등 지역별로 적합한 농경지 온실가스 저감 기술이 적용된다. * 바이오차: 바이오매스(Biomass)와 숯(charcoal)의 합성어로 탄소 함량이 높은 고형물을 의미함. □ 이와 함께 농촌진흥청은 디지털농업 기술을 활용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