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유채 혼파에 의한 벼 건답직파 잡초관리 기술
1. 개발 목적
○ 노동력 및 생산비 절감이 높은 직파 재배면적 확대를 위해 혼파재배에 의한 잡초관리 기술개발로 친환경적 쌀 생산 및 생산비 절감
2. 개발 내용
○ 보리/유채 이용(멀칭) 벼 재배기술의 원리
- 벼 직파재배시 보리를 혼파, 보리의 저온발아성을 이용한 직파 재배 논의 수관 형성 : 벼 직파직후~생육초기 잡초발생 억제
- 벼가 어느 정도 생육 후(5월하순~6월상순) 물을 대면 보리는 고사되어 토양에 유기물로 환원되고 벼는 계속 자라게 함
- 입모율 향상, 질소유실 감소, 잡초발생량 경감, 유기물 환원
○ 벼․보리 혼파재배 작업체계
○ 벼․보리 혼파시 잡초방제가 및 쌀 수량
구 분 |
입 모 수 (개/㎡) |
잡초방제가(%) |
쌀 수량 (㎏/10a) |
수량 지수 | |
6월30일 |
7월30일 | ||||
벼ㆍ보리 혼파 |
132 |
87 |
83 |
462 |
137 |
관행 직파 |
136 |
99 |
94 |
441 |
130 |
무처리 |
128 |
- |
- |
338 |
- |
- 파종시기: 4. 5, - 품종: 삼덕벼, 총체보리 - 파종방법 : 부분경운 직파
○ 피복작물(보리/유채)의 토양피복 및 담수후의 고사 광경
3. 적용 시 효과
○ 농자재 및 제초노력 절감 효과
- 비료․농약 투입량 절감 : 9.8만원/ha(화학비료 20%, 농약 30%)
- 제초노력 절감(40%) : 3.9만원/ha(경엽처리 1회)
○ 직파재배에 의한 노동력 및 생산비 절감 효과(기계이앙 대비)
- 노동력은 25.1% 생산비는 7.5%
4. 개발기술의 활용 방법
○ 벼 요철골 건답직파에서 피복 효과를 위해 동시파종 적기는 4. 10~30일
○ 피복작물 재배에 의한 벼 친환경 재배시 2년후 제초제를 이용한 관행 재배로 전환이 요망됨
○ 피, 여뀌 등 특정초종 우점 발생시 경엽처리제 1회 살포가 요망됨
(기술개발자 :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식물환경과 황재복, 055-350-1253)
'친환경농업기술 > 병해충,잡초 방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발해충 적기 방제(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꽃매미) (0) | 2019.05.29 |
---|---|
작물병 방제활성을 갖는 길항 미생물 (0) | 2009.01.24 |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M27을 이용한 상추 균핵병 환경친화적 방제 및 산업화 (0) | 2009.01.24 |
맥류 재배 논과 밭의 잡초 종류 및 방제기술 (0) | 2008.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