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친화 축산농장 모델
1. 개발 목적
○ 그동안에 친환경축산 관련 정책은 가축의 사육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를 환경오염원으로 인식하고, 가축분뇨의 적정처리를 통해 자연·생활환경의 보전과 수질오염 등을 방지하는데 중점을 두어 왔음
○ 우리 농림업에 있어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축산업을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자연환경과 조화되고 소비자로부터 신뢰받을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축산 경영 유도 하기 위하여 농림수산식품부에서 모델 개발 보급
2. 개발 내용
○ 친환경축산표준모델은 우리 축산업이 지향해야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되, 국내 축산의 현실적인 여건 및 실현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단계별 모델 제시
- 1단계 모델은 현재에도 실현이 가능한 농가가 있고, 농가에서 의지와 노력이 있을 경우, 가까운 장래에 실현이 가능한 수준의 모델을 제시
- 2단계 모델은 우리 축산이 지향해야할 이상적인 모델을 제시
○ 친환경축산 구성요소별 기준 설정 방향
① 환경보전
- 최근 생활환경 오염에 대한 관심을 고려하여 악취방지시설 설치 기준 제시
② 자원순환
- 가축사육으로 발생하는 가축분뇨를 자원화하여 농지에 환원함으로써 토양 및 식물과의 유기적 순환관계 유지
- 가축분뇨의 처리방법, 퇴·액비의 품질, 순환방법 등에 기준 제시
③ 가축건강
- 사육밀도·방목·공기순환·채광·축사구조 등의 사육장 조건, 사료 및 영양관리, 질병·위생관리, 동물복지 등과 관련된 기준 제시
④ 경관보전 : 농장주변 자연경관과의 조화, 농장내의 환경미화 및 청결유지 등
⑤ 경영관리 : 각종 경영기록 관리 및 교육·훈련, 경영컨설팅 등
<친환경축산모델 조감도>
3. 적용시 효과
○ 환경친화축산농장 지정 제도, 유기·무항생제축산물 인증 제도, HACCP 인증 제도 등 운용의 활성화 ⇒ 축산환경 변화에 능동적 대응
4. 개발기술의 활용 방법
○ 사육밀도 등의 사양관리는 무항생제축산물인증기준(축산업등록기준) 수준으로 하고, 질병·위생관리는 농장단위 HACCP 지정수준, 동물복지의 경우는 유기축산물 인증수준으로 하되 EU등의 동물복지 수준도 함께 고려
(기술개발자 :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곽정훈, 031-290-1721)
※ 농림수산식품부에서 2008년도에 발표한 자료임
'작목별 영농정보 > 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료비 절감 원형곤포 사일리지 조제 이용 (0) | 2008.12.23 |
---|---|
겨울철 조사료의 효율적 생산 체계 (0) | 2008.12.23 |
가축분뇨 액비성분 분석기 활용 (0) | 2008.12.15 |
타워형 분리식 바이오필터 활용 (0) | 2008.12.15 |
퇴비화 공정을 이용한 돈분슬러리 처리방법 (0) | 2008.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