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목별 영농정보/축산

환경친화 축산농장 모델

강소농 등대 2008. 12. 15. 08:54

환경친화 축산농장 모델


1. 개발 목적

그동안에 친환경축산 관련 정책은 가축의 사육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축분뇨를 환경오염원으로 인식하고, 가축분뇨의 적정처리를 통해 자연·생활환경의 보전과 수질오염 등을 방지하는데 중점을 두어 왔음

 ○ 우리 농림업에 있어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축산업을 지속가능 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자연환경과 조화되고 소비자로부터 신뢰받을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축산 경영 유도 하기 위하여 농림수산식품부에서 모델 개발 보급


2. 개발 내용

 ○ 친환경축산표준모델은 우리 축산업이 지향해야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되, 국내 축산의 현실적인 여건 및 실현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단계별 모델

  - 1단계 모델은 현재에도 실현이 가능한 농가가 있고, 농가에서 의지와 노력이 있을 경우, 가까운 장래에 실현이 가능한 수준의 모델을 제시

  - 2단계 모델은 우리 축산이 지향해야할 이상적인 모델을 제시

 ○ 친환경축산 구성요소별 기준 설정 방향

  ① 환경보전

    - 최근 생활환경 오염에 대한 관심을 고려하여 악취방지시설 설치 기준 제시

  ② 자원순환

    - 가축사육으로 발생하는 가축분뇨를 자원화하여 농지에 환원함으로써 토양 및 식물과의 유기적 순환관계 유지

    - 가축분뇨의 처리방법, 퇴·액비의 품질, 순환방법 등에 기준 제시

  ③ 가축건강

    - 사육밀도·방목·공기순환·채광·축사구조 등의 사육장 조건, 사료 및 영양관리, 질병·위생관리, 동물복지 등과 관련된 기준 제시

  ④ 경관보전 : 농장주변 자연경관과의 조화, 농장내의 환경미화 및 청결유지 등

  ⑤ 경영관리 : 각종 경영기록 관리 및 교육·훈련, 경영컨설팅 등

<친환경축산모델 조감도>

3. 적용시 효과

 ○ 환경친화축산농장 지정 제도, 유기·무항생제축산물 인증 제도, HACCP 인증 제도 등 운용의 활성화 ⇒ 축산환경 변화에 능동적 대응

4. 개발기술의 활용 방법

 ○ 육밀도 등의 사양관리는 무항생제축산물인증기준(축산업등록기준) 수준으로 하고, 질병·위생관리는 농장단위 HACCP 지정수준, 동물복지의 경우는 유기축산물 인증수준으로 하되 EU등의 동물복지 수준도 함께 고려


(기술개발자 :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곽정훈, 031-290-1721)

                ※ 농림수산식품부에서 2008년도에 발표한 자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