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목별 영농정보/기타

숲가꾸기 작업종류별 작업 요령

강소농 등대 2011. 11. 17. 11:13

 

숲가꾸기 작업종류별 작업 요령

    

<가지치기>

o 작업시기 : 늦가을부터 초봄사이(11월~이듬해 5월)

o 가지치기 방법

  - 대상 수종 :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전나무, 해송, 삼나무 편백 등 침엽수 위주로 실행

  - 활엽수는 밀식으로 자연 낙지를 유도하되 죽은 가지 제거 시에도 지융부가 상하지 않토록 주의하여 실행

  - 가지치기는 반드시 손톱 및 고지톱을 이용하여 실시

(낫을 이용한 가지치기 금지)

  - 지름 5㎝이상의 가지는 자르지 않음

  - 목표생산재가 톱밥, 펄프, 숯 등 일반소경재일 경우에는 가지치기를 실시하지 않음

                                                 

<조림목 월동보호>

o 작업시기 : 11월

o 대상수종 : 밤나무, 감나무, 오동나무등 추위의 피해가 예상되는 수종

o 작업요령

  - 백색수성페인트를 이용하여 지상 50cm높이까지의 줄기에 칠함

  - 짚싸주기와 흙쌓아올리기를 실시한 후 봄에 원상회복조치

 

<덩굴제거>

- 인력에 의한 제거를 원칙으로 함 -

o 대상지 : 칡덩굴에 의해 임목피해가 있는 지역

o 시 기 : 칡의 줄기는 여름철, 뿌리는 겨울철에 제거

o 방 법 : 낫이나 괭이 등을 이용하여 줄기와 새끼뿌리를 제거하

             원뿌리를 캐거나 깊이 파고 절단하여 제거

※ 약제에 의한 제거는 약해피해 등의 우려가 있으므로 산림행정기관 및 산림사업에 경험이 많은 기능인에 의해 실행

 

<솎아베기>

o 대 상 지

  - 조림 후 5~10년이 경과하고 나무간의 우열이 나타나는 임지

※ 15년 이상된 간벌임지는 작업의 위험도가 높고 숙련공이 필요하므로 기능인 작업단 등을 활용하는 경우 실행  

o 작업시기 : 산 가지치기를 수반하지 않을 경우 연중 실행 가능

o 제거대상

  - 조림목 또는 가꾸어야 할 나무의 생장에 방해가 되는 관목과 덩굴류

  - 조림목 중 생장이 불량하여 장차 목재생산 가치가 없는 나무

  - 죽은나무, 병해충 피해를 받은 나무

o 작업요령

  - 제거할 나무를 미리 끈(붉은색)으로 묶어 표시한 후 베어낸다

  - 조림목을 감고 자라는 덩굴은 낫 등으로 베어내고 감겨진 덩굴은 모두 걷어낸다

  - 형질이 우량한 나무에 대하여는 가지치기를 실시한다

  - 계곡부, 농경지 주변 등에 있는 부산물은 전량 수집하여 수해피해 및 산불확산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안전한 곳으로 운반 처리한다

  - 기계톱, 낫 등 작업도구 사용시 안전에 유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