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어가기/상식

최근 농산물 가격의 상승에 미치는 요인

강소농 등대 2008. 8. 7. 16:27
 세계 농산물 공급과 수요 : 최근 농산물 가격의 상승에 미치는 요인

       

□ 요약 : 최근 국제 식량 가격 상승의 원인과 전망

요인

주요 내용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지난 10년 전부터 수요성장률이 공급성장률을 초과

  - 중진국의 소득 증가에 따른 식량 수요 증가

  - 중진국의 육류소비 증가에 따른 사료용 곡물 수요 증가

  - 전 세계 재배면적 성장률은 38년간 0.15% 증가에 불과

  - 전 세계 농업의 성장률은 향후 10년간 매년 1.2% 하락 전망

  - 전 세계의 식량 기말재고와 재고율은 1970년 이래 최하 수준

향후 10년간 국제 곡물가격은 현 상황에서 하락하지 않을 것임

  - USDA의 2009~2017년까지의 장기예측 결과

바이오연료

원료 곡물 수요 증가

․브라질과 미국 주도의 에탄올 생산에 의한 국제곡물가격 상승

  - 미국은 옥수수, 브라질은 사탕수수를 주원료로 사용함

  - 전 세계에서 소비되는 곡물의 총량에 비하면 극소량에 불과함

․몇 년후 전 세계 바이오연료 생산의 증가 속도가 낮아질 것임

  - USDA의 2009~2017년까지의 장기예측 결과

  - 곡물, 식물성유지의 생산량은 향후 5년간 보합세를 보일 전망임

농산물

생산비 증가

(에너지 가격)

․비료, 연료, 살충제 등 에너지와 관련한 투입비용이 증가함

  - 석유등의 에너지 가격 상승에 의함

상품선물 

수요 증가

펀드 투자자의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의한 헤지펀드 등의 수요증가

  - 농산물, 비철금속, 에너지 부문

  - 선물가격 상승이 현물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웩더독(wag the dog) 현상

기상악화

2007년의 기상악화로 곡물 및 식물성유지 평균 생산량이 2년 연속 감소

  - 곡물과 식물성유지의 주산지에 가뭄, 냉해 등이 발생

미 달러화

약세

․미 달러화의 가치하락에 따른 수입비용 하락과 수입량 증가

  - 농산물 수입국들의 미국으로부터의 농산물 수입 증가

․미 달러화 가치 하락에 따른 달러표시 국제농산물 가격 상승

풍부한

외환보유고

풍부한 외환을 바탕으로 높은 국제 곡물가격에도 불구하고 수입을 지속함

  - 석유수출국과 아시아(중국, 일본 등) 국가들

  - 상대적으로 외환보유고가 낮은 나라는 식량안보 문제가 심각해짐

무역 정책

․식량 수출국과 식량 수입국의 국내정책이 국제가격을 상승시킴

  - 수출국 : 수출세 부과, 수출보조금 폐지, 수출물량 규제, 수출금지

  - 수입국 : 낮은 수입관세 적용, 소비자 보조금 등

  - 수출국 무역정책에 의해 교역량 감소, 수입국 정책에 의해 수입수요 증가

 * 원저자 : Ronald Trostle, 번역자 : 기술경영과 이동현

 

자료문의 :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작물기술지원과 농업연구관 김충국

연락처 : 전화(031-290-6866), E-mail(kimcg@rd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