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농업기술/녹비작물

수입에만 의존하던 헤어리베치 종자를 국내에서도 생산할 수 있다

강소농 등대 2008. 11. 3. 14:28

수입에만 의존하던 헤어리베치 종자 국내에서도 생산할 수 있다.


□ 알맞은 토양은 ?

 ○ 배수가 양호한 밭 또는 논토양

 ※ 논은 밭 토양에 비해 헤어리베치 생육이 불량하며, 7월 상순경 종자 수확으로 2모작이 어려우므로 가급적 밭에서 채종하는 것이 유리함


□ 지역별 알맞은 파종시기는 ?

수원 이북

중부지역

(수원~익산)

익산 이남

고랭지

9월 15~20일

9월 20일~25일

9월 25일~10월 5일

9월 1~10일

 * 월동 전(된 서리 내리기 전)에 본잎 5~6매 확보할 수 있는 시기가 파종 적기임.


□ 시비방법은 ?

 ○ 시비시기 : 파종 2주전

 ○ 시비량

   - 성분량(kg/10a) : 질소 4, 인산 4.5, 칼리 10.8

   - 실제 비료량(kg/10a) : 요소 8.7, 용과린 22.5, 황산가리 24

     (콩전용복합비료 50kg)

 ※ 산성토양(pH 6 이하)은 3년 1회 주기로 10a당 석회 150 kg 시용

 ※ 직전에 재배한 작물이 감자, 배추, 고추와 같은 다비성 작물이었다면 요소 비료는 주지 않아도 가능


□ 파종 방법은 ?

 ○ 트랙터 부착 세조파기로 파종(골간격 60㎝, 파종넓이 5㎝)

 ○ 파종량 : 10a당 헤어리베치 3kg와 라이밀(호밀) 1kg을 혼합하여 파종

 ○ 파종깊이 : 2㎝ 이내 (검지 손가락 첫마디 길이 이내)

 ※ 헤어리베치를 처음 재배하는 논이나 밭은 헤어리베치를 재배하였던 토양을 종자 량의 2~3배로 섞어서 파종하면 근류균 착생이 증가되어 헤어리베치 생육이 양호해짐


□ 생육 관리 요령은 ?

 ○ 가뭄이 심할 경우 물을 대줌

 ○ 강우 후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배수구 정비, 특히 해빙기(2월 하순~3월 상순) 이후 완전 배수되도록 중점 관리

 ○ 봄철(4월 중하순) 생육이 부진하면 10a당 요소비료 4~8kg 추비 시용


□ 종자수확 시기와 방법은 ?

 ○ 시기 : 개화 후 35일경(6월 하순~7월 상순), 아래 마디의 꼬투리가 완전히 성숙되었을 때

 ○ 방법 : 범용콤바인이나 크라스콤바인으로 수확


□ 종자의 건조 조제는 ?

 ○ 수확한 종자를 멍석에 널어 펴서 태양 볕에 3~5일간 건조 시킨 후 선별기(나선형경사분리기)로 종자 분리 선별


자료문의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환경과 농업연구관 김충국

연락처 : 전화(031-290-6774), E-mail(kimcg@rd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