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깨의 야간 조명 피해를 줄이는 방법
1. 개화 및 성숙 반응
들깨는 전형적인 단일식물로 식량작물 중에서는 불빛의 영향이 가장 큰 작물이다. 대부분의 들깨품종은 자연일장이 12시간 43분이 되는 9월 초에 개화가 시작되며, 13시간 이상의 일장에서는 일장이 길어질 수록 개화가 지연되고, 16시간 이상의 일장에서는 꽃눈분화가 억제되어 영양생장만 계속하여 종실수확이 곤란하다.
들깨는 야간조명에 특히 민감한 작물로 야간조도 2룩스 이상에서도 개화가 지연되는 현상이 뚜렷하며, 6.1~10.0 룩스에서는 21~29일 정도나 개화가 지연되기 때문에 늦가을 서리가 올 때까지도 성숙이 되지 않는다.
품 종 |
개 화 기(월.일) |
성 숙 기(월일) | ||||||
2.0 룩스이하 |
2.1~4.0 |
4.1~6.0 |
6.1~10.0 |
2.0 룩스이하 |
2.1~4.0 |
4.1~6.0 |
6.1~10.0 | |
옥동들깨 아름들깨 |
9.4 9.5 |
9.8 9.9 |
9.19 9.21 |
9.25 10.3 |
10.8 10.9 |
10.19 10.21 |
10.28 10.30 |
미성숙 미성숙 |
2.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의 변화
화방군수와 화방당 삭수도 야간의 불빛 밝기가 밝을수록 뚜렷하게 감소된다. 야간의 불빛 밝기가 2.1 룩스 이상일 때는 2룩스 이하에 비하여 화방군수와 화방당 삭수가 현저하게 감소되며, 6.1 룩스 이상일 때는 거의 달리지 않는 상태로 감소된다.
품 종 |
화방군수(개/주) |
화방당 삭수(개/주) | ||||||
2.0 룩스이하 |
2.1~4.0 |
4.1~6.0 |
6.1~10.0 |
2.0 룩스이하 |
2.1~4.0 |
4.1~6.0 |
6.1~10.0 | |
옥동들깨 아름들깨 |
26.3 38.0 |
14.6 17.4 |
7.8 3.3 |
2.8 0.9 |
36.4 30.2 |
25.2 23.7 |
20.1 4.7 |
0.2 0.3 |
수량도 다른 작물에 비하여 빛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2.1~4.0 룩스에서 33~43%나 감소되고, 6.1 룩스 이상에서는 거의 수확을 하지 못할 수 있다.
표 3. 야간조명에 따른 들깨 수량 (단위 : kg/10a)
품 종 |
2.0 룩스이하 |
2.1~4.0 |
4.1~6.0 |
6.1~10.0 |
옥동들깨 아름들깨 |
82.8(100) 106.9(100) |
55.2(67) 61.3(57) |
28.9(35) 15.7(15) |
9.0(11) 1.6(2) |
주) * ( )는 지수임
따라서 불빛에 민감한 들깨는 종실 수확의 목적이 아니라 잎을 수확하는 목적으로 재배하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매일 자정 무렵에 30~100 룩스로 10분간씩만 불빛을 비춰주어도 개화가 되지 않아 잎의 수량을 올릴 수 있으며, 또한 짧은 시간의 조명으로 밤새 조명을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야간의 불빛을 잘 이용하면 전기요금 등 생산비를 줄일 수 있다.
조명시간 (분/일) |
엽면적(㎤/주) |
건물중(g/주) | ||
엽실들깨 |
옥동들깨 |
엽실들깨 |
옥동들깨 | |
10분 30분 60분 자연일장 |
4,577 4,428 4,030 2,180 |
4,420 4,365 4,008 2,014 |
25 27 26 - |
29 28 27 - |
주) * 야간조도 : 30~100 룩스, 백열등 점등
3. 피해 예방대책
들깨는 작물 중에서 피해가 아주 큰 작물로 야간조명이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재배를 피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종실용의 들깨 품종보다는 엽 전용 들깨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고, 가능하다면 고추, 토마토, 강낭콩, 잎들깨 등과 같이 피해가 적은 작물을 선택 재배해야 한다.
자료문의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김충국 (전화 : 031-290-6774)
'야간조명 > 야간조명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간조명에 의한 벼의 출수 및 수량 반응 (0) | 2008.11.18 |
---|---|
참깨 생육 중 야간조명의 영향 (0) | 2008.11.18 |
야간조명에 의한 콩의 생육 반응 (0) | 2008.11.18 |
과도한 야간조명 식물에 ‘공해’ (0) | 2008.11.18 |
농업분야도 꿈의 광원 LED 주목 (0) | 2008.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