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조명/야간조명연구

야간조명에 의한 콩의 생육 반응

강소농 등대 2008. 11. 18. 08:32

야간조명에 의한 콩의 생육 반응


1. 콩의 개화 반응

  콩은 전형적인 단일식물로 벼와 같이 낮의 길이가 길면 꽃이 정상적으로 발육하지 못해 개화가 지연되거나 억제되고 등숙 및 결실 불량으로 수량감소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일장에 감응하는 조도는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5.5룩스 이상에서 감응하며, 일장효과를 나타내는 최저조도가 만생종보다 조생종이 높기 때문에 만생종 품종이 불빛에 더욱 민감하여 개화의 지연과 수량의 감소가 심하다.

  야간의 불빛 밝기가 6.1~10.0 룩스일 경우 조생종인 석량풋콩은 2일 정도 개화가 지연되지만, 중만생종인 황금콩은 불빛에 더욱 민감하기 때문에 16일 정도 개화가 지연된다.


 표 1. 야간조명에 따른 콩 품종별 개화기(월․일)

품 종

2.0룩스이하

2.1~4.0

4.1~6.0

 6.1~10.0

석량풋콩

황금콩

6. 13

7. 20

6. 13

7. 25

6. 14

7. 31

6. 15

8. 5


            2.0룩스이하     2.1~4.0      4.1~6.0    6.1~10.0

그림 1. 야간조도별 생육 및 협수의 비교


  생육단계별 야간조명에 따른 개화반응은 화아분화 전기가 빛에 민감하여 무조명에 비해 7~8일이 개화가 지연되었다.


 표 2. 생육단계별 야간조명에 따른 개화지연 정도

구    분

야간조명 시기

무조명

유묘기

화아분화 전기

화아분화 후기

개화지연일수(일)

유한형

6

8

4

0

무한형

4

7

2

0


2. 콩의 수량

  야간조명에 따른 수량은 조생종인 석량풋콩은 6룩스까지는 수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6.1~10.0룩스일 경우 13% 정도 감소된다. 그러나 중만생종인 황금콩은 야간 불빛에 민감하여 6.1~10.0룩스일 경우 43%나 감소되었다.


 표 3. 야간조명에 따른 콩 품종별 수량 (kg/10a)

품 종

2.0룩스이하

2.1~4.0

4.1~6.0

 6.1~10.0

석량풋콩

황금콩

1,142(100)

183(100)

1,136(99)

149(81)

1,093(96)

113(62)

989(87)

105(57)

  * (  )내는 지수


3. 피해 예방대책

  콩은 야간조명의 피해를 일으키는 수준이하(2.1~4.0 룩스)로 밝기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개화기 이전에 피해가 크므로 이 시기에 불을 끄거나 불빛의 밝기를 낮추면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조명등의 불빛 방향을 작물의 반대쪽으로 향하게 하거나 각도조절 및 등에 갓을 씌워서 작물에 빛을 적게 쪼이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콩은 만생종의 품종보다는 조생종의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야간조명이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가능하다면 고추, 토마토, 강낭콩, 잎들깨 등과 같이 피해가 적은 작물을 선택 재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자료문의 : 031) 290-6774,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환경과 농업연구관 김충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