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조명에 의한 맥류의 생육반응
1. 보리의 반응
보리는 낮 시간이 밤 시간보다 길면 이삭이 빨리 패는 장일성 작물이기 때문에 벼, 콩 등과 같은 단일성 작물과는 반대로 야간에 불빛이 밝으면 오히려 출수와 성숙이 빨라진다.
야간의 불빛 밝기가 10.1~20.0 룩스 일 경우 파성이 낮은 강보리는 출수가 8일 빨라지며, 서둔찰보리와 올보리는 5일 빨라진다(표 1).
품 종 |
2.0 룩스 이하 |
2.1~5.0 |
5.1~10.0 |
10.1~20.0 |
강보리 서둔찰보리 올보리 |
4. 29 4. 30 5. 1 |
4. 25 4. 29 4. 30 |
4. 23 4. 28 4. 30 |
4. 21 4. 25 4. 26 |
이삭패는 시기가 빨라지면 충분히 생육할 수 있는 기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수량이 감소되며, 야간의 불빛 밝기가 10.1~20.0룩스일 경우 2.0룩스 이하에 비하여 강보리는 38%, 서둔찰보리 및 올보리는 22%의 수량이 감소된다.
품 종 |
2.0 룩스 이하 |
2.1~5.0 |
5.1~10.0 |
10.1~20.0 |
강보리 서둔찰보리 올보리 |
587(100) 560(100) 592(100) |
493(84) 493(88) 562(95) |
429(73) 448(80) 509(86) |
364(62) 437(78) 462(78) |
주) ( )내는 수량지수
2. 밀의 반응
밀도 보리와 같이 장일성 작물이기 때문에 벼, 콩 등과 같은 단일성 작물과는 반대로 야간에 불빛이 밝으면 오히려 출수와 성숙이 빨라진다.
야간의 불빛 밝기가 10.1~20.0룩스일 경우 조숙종인 그루밀과 금강밀은 출수가 2~3일 정도 빨라지며, 숙기가 늦은 조광과 장광은 6~9일 출수가 빨라져 숙기가 늦은 품종일수록 야간조명의 영향에 더욱 민감하다.
품 종 |
2.0 룩스 이하 |
2.1~5.0 |
5.1~10.0 |
10.1~20.0 |
금강밀 그루밀 조 광 장 광 |
5. 2 5. 5 5. 12 5. 16 |
5. 2 5. 4 5. 10 5. 14 |
5. 1 5. 4 5. 9 5. 10 |
4. 30 5. 3 5. 6 5. 7 |
이삭패는 시기가 빨라지면 충분히 생육할 수 있는 기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수량이 감소되며, 야간의 불빛 밝기가 10.1~20.0룩스일 경우 2.0룩스 이하에 비하여 금강밀은 10%, 그루밀은 13%, 조광은 40%, 장광은 35%의 수량이 감소되어 조숙종인 금강밀이나 그루밀에 비해서 만숙종인 조광이나 장광은 수량감소가 현저하게 큰 편이다.
품 종 |
2.0 룩스 이하 |
2.1~5.0 |
5.1~10.0 |
10.1~20.0 |
금강밀 그루밀 조 광 장 광 |
468(100) 453(100) 701(100) 612(100) |
449(96) 417(92) 581(83) 561(92) |
445(95) 412(91) 524(75) 480(78) |
421(90) 394(87) 422(60) 398(65) |
주) ( )내는 수량지수
3. 피해 예방대책
맥류는 야간조명의 피해를 일으키는 수준이하(2.1~4.0룩스)로 밝기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명등의 불빛 방향을 작물의 반대쪽으로 향하게 하거나 각도조절 및 등에 갓을 씌워서 작물에 빛을 적게 쪼이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보리는 강보리보다 서둔찰보리나 올보리를 재배하고, 밀은 숙기가 늦은 조광이나 장광보다는 숙기가 빠른 금강밀이나 그루밀을 선택하여 재배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야간조명이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가능하다면 고추, 토마토, 강낭콩, 잎들깨 등과 같이 피해가 적은 작물을 선택 재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자료문의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김충국 (전화 : 031-290-6774)
'야간조명 > 야간조명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촌진흥청, LED 광처리 장치 산업체에 기술이전 (0) | 2009.02.26 |
---|---|
농업용 'LED 광처리 장치' 개발 (0) | 2008.12.07 |
야간조명에 의한 벼의 출수 및 수량 반응 (0) | 2008.11.18 |
참깨 생육 중 야간조명의 영향 (0) | 2008.11.18 |
들깨의 야간 조명 피해를 줄이는 방법 (0) | 2008.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