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비 절감 원형곤포 사일리지 조제 이용
1. 개발 목적
○ 국내산 양질 자급 조사료 생산 확대 필요
○ 3D 기피로 인한 농촌 노동력 확보의 어려움
○ 대량 생산된 조사료의 안정적 저장 기술의 확립
○ 볏짚 등 부산물의 확대 이용이 필요(연간 200만톤 이상 활용)
- 볏짚 활용율 37% 내외 → 50% 이상의 확대
- 건조볏짚은 건조과정에서 사료가치 및 가축 기호성이 떨어짐
2. 개발 내용
○ 원형곤포를 이용한 사일리지 조제 기술 개발
벼수확 |
→ |
집 초 |
→ |
곤 포 |
→ |
첨가제 처리 |
→ |
비닐 감기 |
→ |
개별 저장 |
<원형곤포 사일리지 작업 과정>
3. 적용시 효과
○ 볏짚의 사료가치 및 수거율 개선 : 현재 약 37% → 50% 이상 가능
○ 가축 기호성 50% 개선 : 건조볏짚 5.0kg/두/일 → 생볏짚 7.5kg
○ 신속한 수거로 답리작 파종을 앞당김 : 답리작 적기 파종 가능
○ 원형곤포 사일리지 조제용 기계 활용도 제고 : 연중 사용
- 봄 사료작물, 목초, 가을 볏짚, 가을 사료작물 등
○ 예건, 첨가제 처리 등을 통한 사일리지 품질의 개선
4. 개발기술의 활용 방법
○ 작물별 적정 수확시기를 준수(적정 수분함량 60% 내외, 예건필요)
- 볏짚은 콤바인 작업 후 1일 이내
○ 곤포 압력을 최대한으로 높이고 곤포 후 8시간 이내에 비닐을 감음
○ 필요시 첨가제 활용 : 특히 조제시기가 빠르거나 늦을 때
○ 비닐은 4겹으로 감고 장기보관시 6겹 이상으로 늘림
○ 저장은 2단 이하로 적재하고 저장기간 동안 비닐 손상에 유의
(기술개발자 :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조사료자원과 김종근, 041-580-6773)
'작목별 영농정보 > 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제역 확산방지를 위한 국민 협조사항 (0) | 2011.01.24 |
---|---|
조사료 사일리지 품질개선을 위한 첨가제 활용 (0) | 2008.12.23 |
겨울철 조사료의 효율적 생산 체계 (0) | 2008.12.23 |
가축분뇨 액비성분 분석기 활용 (0) | 2008.12.15 |
타워형 분리식 바이오필터 활용 (0) | 2008.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