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밥맛도 좋고 벼멸구 등 각종 병해충에 강해 -
농촌진흥청은 최근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친환경쌀 생산에 알맞은 벼 품종으로 ‘친농’ 등을 추천한다고 밝혔다.
친환경쌀 재배면적은 2005년 65,683ha에서 2009년에는 106,840ha로 163% 증가했으며, 앞으로 계속 늘어날 전망이지만 친환경재배에 적합한 벼 품종 육성은 미흡한 실정이다.
친환경재배용 벼 품종은 미질과 밥맛이 최상급이어야 하며 각종 병해충에 강해야 한다. 더불어 추위와 쓰러짐에 강하고 수발아도 되지 않는 등 재해저항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병해충과 재해저항성은 벼의 안정된 생산은 물론 병해충 방제를 위해 소모될 약제와 노력을 절감시킴으로써 생산비를 낮춰 주고 동시에 환경생태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을 미리 막아주는 효과를 얻게 된다.
2010년에 육성된 ‘친농’은 고품질 중만생종이며 도열병, 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 및 벼멸구에 강하고 수발아와 도복에도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친환경 재배에 알맞다.
이밖에도 한 가지 병 또는 해충에 강한 다수의 품종들이 개발됐다. ‘새누리’는 키다리병, ‘진백’은 흰잎마름병, ‘서명’은 깨씨무늬병에 강하며 ‘다청’과 ‘하남’은 벼멸구에 강하다. 줄무늬잎마름병에는 ‘호품’ 등 대부분의 품종들이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질소비료를 적게 주어도 상당한 수량을 내는 ‘청정진미’, ‘청해진미’도 개발됐다.
농촌진흥청 벼육종재배과 고재권 과장은 “벼 품종의 선택은 소비자들의 선호에 맞는 호품, 새누리, 온누리 등 다양한 품종들이 있으나 이 품종들도 현재로서는 한두가지 결점이 있으므로 친환경 농자재 등의 이용으로 보완해야 한다.”며, “궁극적으로는 고품질이면서 여러 가지 병해충에 저항성이고 재해저항성을 겸비한 품종 육성이 친환경 벼 재배성공의 지름길”이라고 밝혔다.
[문의] 농촌진흥청 벼육종재배과장 고재권, 벼 육종잽과 신문식 063-840-2151
'작목별 영농정보 > 벼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볍씨 소금물 가리기 및 종자소독 방법 (0) | 2015.04.04 |
---|---|
벼의 품질과 수량, 두 마리 토끼 잡기 (0) | 2011.05.28 |
차가버섯 성분 먹고 자란 쌀 아세요? (0) | 2011.01.12 |
키다리병 예방을 위한 볍씨소독요령 (0) | 2010.03.31 |
'맛 따로, 기능 따로'..쌀은 진화한다 (0) | 2009.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