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농사
❍ 쓰러진 벼 가운데 이삭이 나온 지 얼마 된 벼는 4~6포기씩 묶어 줌.
❍ 침관수된 논은 조기배수후 흰잎마름병, 도열병 등 병해충 방제 실시
❍ 출수된 포장 강풍 통과시 가능한 물을 깊이대어 도복피해 경감
❍ 바닷물 침수시 조기 환수
밭작물, 노지채소, 특작
❍ 붉은 고추는 빨리 따서 다음 고추의 자람을 촉진시키도록 하고, 수확하여 건조 중에 있는 참깨는 비를 맞지 않도록 관리
❍ 고추, 참깨 등 쓰러진 포기는 세워 주고 줄지주 보강
❍ 토양 과습시 뿌리의 기능이 약해 양수분 흡수능력이 떨어지므로 요소 0.2%액이나 제4종복비를 뿌려주어 생육 회복 촉진
❍ 폭우 및 강풍 피해지역은 주기적 약제 살포로 병해방제
- 대상 병해충 : 무름병, 역병, 탄저병, 반점세균병, 담배나방 등
❍ 폭우·강풍·병해충·생리장해 등의 원인으로 포장에 떨어진 열매, 잎, 줄기, 병든 포기 등 땅속에 묻거나 불에 태워 전염원 제거
❍ 뿌리가 손상되어 지상부가 시든 경우 열매를 일찍 수확하여 식물체의 착과 부담 경감으로 생육회복 촉진
❍ 6시간 이상 침수된 인삼은 미근이 자라지 않으면 곧바로 수확
과 수
❍ 노출된 뿌리는 흙으로 덮어 주고, 유실 매몰된 곳은 신속히 복구하며, 잎 손상이 심할 경우 잎 수에 알맞게 열매를 솎기 작업
❍ 수확기에 있는 과실이 비를 맞게 되면 당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가능하면 비가 그친 후 3~4일이 지난 다음 수확작업
❍ 도복된 나무는 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조지주를 설치 고정하고 수관하부를 멀칭하여 새 뿌리 발생 촉진
❍ 지하부 뿌리 절단 및 손상을 감안하여 지상부의 가지수를 조절
❍ 부러진 가지는 기부를 깨끗이 정리하여 보호제를 발라 줌.
❍ 상처가 난 잎을 통한 제 2차 감염 방지를 위하여 살균제를 살포하고, 수세 회복을 위하여 필요시 요소를 2회 정도 엽면살포
❍ 염분피해가 우려되면, 태풍 경과 3시간 이내에 지하수2,500ℓ/10a 이상양을 엽면 살포하여 염분을 세척해주어 가능한 빠리 회복되도록 함
축 산
❍ 비바람으로 쓰러진 사료작물은 비가 그친 후 곧바로 베어서 담근먹이로 하고, 후작으로 연맥(귀리), 유채 등 사료작물을 파종
❍ 땅이 질고 습한 경사 초지에서는 일정기간 방목을 중지하고 목초피해 및 토양 유실 방지
❍ 축사의 습도 증가는 에너지 소모를 현저히 증가시켜 가축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므로 충분한 통풍 환기 및 수시 분뇨 제거로 유해가스 발생방지
❍ 오물 확산 방지를 위한 퇴비사 및 분뇨처리장 점검
❍ 전염병 등 질병 발생시 방역기관 신고 및 방역 등 신속한 조치
❍ 전염병에 의한 폐사축은 방역관의 지시에 따라 소각 또는 매몰
❍ 축사주변 배수 및 소독 철저로 질병 전파방지
농업시설물 등
❍ 하우스 주변 배수로 정비로 신속하게 물빼기 작업
❍ 피복한 비닐 및 피해가 경미한 기자재 등은 오물을 제거하고, 깨끗한 물로 씻어 줌
❍ 복구가 가능한 하우스는 신속히 복구하고, 복구가 불가능한 하우스는 가능한 일찍 철거
❍ 시설재배 작물은 별도 육묘상을 설치하여 안전육묘
❍ 양액재배 시설 침관수 시 베드 청소 및 소독 실시 후 양액공급 또는 작물재배
❍ 파손된 농기계는 전문 수리요원에게 점검을 받은 후 작동여부를 확인후 사용
'작목별 영농정보 > 재해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염 지속시 예상되는 문제점 (0) | 2011.08.16 |
---|---|
벼 침관수시 피해율 예측 (0) | 2011.08.16 |
8월 중․하순 태풍피해 사례 (0) | 2011.08.16 |
호우시 시간당 강우량과 벌어지는 상황 (0) | 2011.08.16 |
호우피해지역 농작물 사후관리요령 (0) | 2011.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