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목별 영농정보/재해관리

보리, 밀의 월동관리 대책

강소농 등대 2011. 11. 25. 11:10

보리, 밀의 월동관리 대책

 

배수구 정비로 습해 피해 감소

배수 작업을 겸한 흙넣기와 트랙터 부착 로울러 이용 보리 밟기

씨뿌린 직후에 유기물을 덮어주지 못한 포장은 12월 중․하순경 생육이 완전 정지된 후 퇴비, 거친 두엄, 왕겨 등을 10a당 1,000kg 기준으로 덮어주는 것이 좋음

월동전․후 분얼이 왕성할 때 까지는 1㎝정도, 무효분얼기 이후는 2~3㎝ 이상의 깊은 토입으로 분얼억제와 도복방지 및 잡초발생 억제

 

                                   < 유기물 덮어주기 효과 >

시용량

맥류연구소

경기

강원

전북

전남

경북

평균

무피복

-

100

(250kg)

100

(271)

100

(235)

100

(199)

100

(272)

100

(187)

100

(235)

비닐피복

-

123

126

143

118

126

130

128

퇴비

500kg

107

-

-

-

141

113

122

퇴비

1,000

110

-

114

106

-

115

111

볏짚

300

-

111

109

-

127

112

115

볏짚

600

132

-

-

-

-

116

124

* 보리의 파종심도에 따른 한해차이

종자가 2~3㎝이상 흙덮기 되었을 때는 1~2엽기에 혹한이 와도 90%이상 월동이 가능하나 흙덮기를 못해서 종자가 노출되었을 때는 5~6엽기 85%, 3~4엽기는 60% 정도의 생존율을 보이며, 그 이하의 생육단계에서는 모두 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