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동경로 현황>
○ 2013-14년 가창오리 도래현황
- 2013년 11월 15일 - 영암호 155,000개체
- 2013년 12월 하순 - 금강호 150,000개체(동림저수지 미확인)
- 2014년 1월 초 - 동림저수지, 금강호
※ 가창오리는 대규모 무리가 이동하는 개체로, 10만마리 이상은
영암호, 금강호, 동림저수지, 금호호에 도래
※ 삽교호, 간월호, 만경강 등에도 간헐적으로 도래하나 소수
<보호종 지정현황>
- CITES 부속서 Ⅱ(2007)
- IUCN RED LIST 멸종우려 취약 등급(VU, Vulnerable)
- 야생생물 보호법에 따른 멸종위기종 Ⅱ급(‘98~’11), 현재 포획금지종
<생물학적 특성>
- 담수 또는 기수 습지에서 월동한다.
- 시베리아가 번식지로 추정되고, 우리나라에서는 월동하며,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겨울을 보낸다.
- 겨울에는 주간에 저수지에서 휴식을 취하고 야간에 주변의 농경지로
날아가 벼 낟알을 주로 먹는다. (일몰 직후 야간에 먹이를 먹으려고
무리 전체가 비상하는 것이 특징)
- 월동지에서 큰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작목별 영농정보 > 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류 인플루엔자 차단을 위해 이것만은 실천 합시다! (0) | 2014.01.20 |
---|---|
AI(조류 인플루엔자) 문답집 (0) | 2014.01.20 |
야생조류 조류 인플루엔자 주의 요령 (0) | 2014.01.20 |
구제역 확산방지를 위한 국민 협조사항 (0) | 2011.01.24 |
조사료 사일리지 품질개선을 위한 첨가제 활용 (0) | 2008.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