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생산실태 및 시장전망
○ 친환경농산물(유기+무농약) 재배면적은 2013년 이후 감소해왔으나 2016년
이후 다시 증가할 전망
-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은 인증의 신뢰성 문제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증이
보다 강화되어 2013년 이후 연평균 16.1%로 감소
- 인증제도의 개선, 유통체계 확충 및 소비 확대, 생산기반 확충 등 ‘제4차
친환경농업 육성 5개년 계획’이 예정대로 추진될 경우 2016년 이후에는
다시 증가할 전망임
○ 친환경농산물 인증실적의 감소로 시장규모도 점차 줄어들었으며 2015년은
전년보다 18.8% 줄어든 약 1조 2,718억 원이 될 것으로 추정됨
- 2015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가 감소한 이유는 인증면적의 감소로 출하량이
매우 적었기 때문임
- 품목류별 시장규모 비중은 과실류의 비중이 8.0%로 곡류(42.8%), 채소류(21.7%)
에 비해 매우 작은 수준임
○ 세계적인 웰빙트렌드의 확산으로 유기농식품 시장규모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2000년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세계 유기농산물은 2014년 기준 약 172개국, 4,366만 ha의 면적에서 생산되고
있고,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
- 유기농식품 세계 시장규모는 1990년 150억 달러에서 2012년에는 4.3배 증가한
640억 달러, 2014년에는 5.3배 증가한 800억 달러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
○ 2016년 이후 시장규모는 정부의 육성정책에 힘입어 증가세로 전환될 전망
- 2016년 이후 정부의 ‘제4차 친환경농업 육성 5개년 계획’의 추진으로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 2조 5,242억 원, 2025년 3조 9,862억 원으로 전망
○ 친환경농산물의 안정적인 공급 및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긴요
- 단기적으로 저농약 인증제도 폐지에 대응하여 친환경 과실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직불제의 개선, 생산자 보험 도입, 유기농과수 재배 매뉴얼 작성 및 보급
등의 대응방안 긴요
- 중장기적으로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 확대에 대응하여 친환경가공식품의
산업기반을 확충하고 외식 및 수출 등 국내외 소비시장 확대사업 추진 필요
* 자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농정포커스 제131호)
'작목별 영농정보 > 친환경농산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찰옥수수 재배 시, 풋거름작물을 사이짓기 하세요! (0) | 2016.04.25 |
---|---|
친환경농산물 인증 및 관리 실적 (0) | 2013.10.28 |
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 소개 (0) | 2013.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