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본격적인 여름을 앞두고 불볕더위에 대비해 농업인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농업인 안전보건 관리 행동 요령을 안내했다.
○ 여름철 한낮에 논과 밭, 시설하우스 등 그늘이 없는 곳에서 오랜 시간 농작업을 하면 두통, 어지러움, 의식 저하 등 온열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더위 체감속도가 느린 60대 이상 고령 농업인은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 실제로 지난해 불볕더위로 인한 온열질환 사망자는 1,376명이었고, 바깥에 있는 작업장에서의 온열질환자 발생률은 전체 환자 가운데 40.7%에 이른다.
* 질병관리청 발표
□ 기상청의 기후 전망에 따르면, 올여름 온도가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돼 농작업자는 불볕더위로 인한 건강 관리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 한낮에 농작업을 할 때는 반드시 2인 이상 함께 움직여 비상 상황에 대처한다. 시원한 물을 섭취해 체온을 낮추고, 작업 도중에도 잠깐잠깐 그늘에서 쉰다.
○ 술이나 카페인이 들어 있는 음료(탄산음료, 커피, 녹차 등) 대신 물을 마시고, 한번 쉴 때 15분 이상 휴식 시간을 짧게 자주 갖는다.
□ 시설하우스에서 농작업을 할 때는 ‘습구흑구 온도지수(WBGT)’* 측정기를 준비하고 작업자의 WBGT를 측정해 작업 강도에 따라 정해진 휴식 시간을 지킨다.
* WBGT (Wet Bulb Globe Temperature, 습구흑구 온도지수): 기온, 습도, 복사열, 기류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열에 의해 인간이 받는 스트레스를 나타낸 수치
○ 1시간 작업 기준 WBGT가 25도 이하면 작업을 계속해도 되지만, 32.2도 이상이면 아무리 가벼운 작업이라도 1시간 기준 45분 작업 후 15분 휴식을 취한다.
○ 여름철 시설하우스 작업은 한낮을 피해 오전 9시 이전, 오후 5시 이후에 해야 불볕더위로 인한 온열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 온열질환자가 발생하면 먼저 의식이 있는지 확인하고, 의식이 없으면 119에 즉시 연락한다. 응급차가 올 때까지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옮겨 옷을 느슨히 하고 목, 겨드랑이에 차가운 생수병을 대거나 선풍기 바람을 쐬어 체온을 식힌다.
□ 농촌진흥청은 농업인안전365(farmer.rda.go.kr)와 농업기술 포털사이트 농사로(nongsaro.go.kr)를 통해 해마다 농업인과 농촌지역 취약계층의 온열질환 예방과 안전사고 예방 행동 요령을 안내하고 있다.
○ 또한,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정보를 안내하는 홍보물을 만들어 시군 농업기술센터에 배포했다.
□ 농촌진흥청 농업인안전보건팀 김경란 팀장은 “올여름은 예년보다 덥다고 예상되므로, 불볕더위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안전 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라고 말했다.
붙임. ‘폭염, 농업인 건강과 안전관리가 중요합니다’ 작은 책자
'쉬어가기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애단계별 8대 건강문제 (0) | 2014.03.27 |
---|---|
스미싱 알고 대응하자 (0) | 2013.11.13 |
조류인플루엔자 A(H7N9) 인체감염증 관련 Q&A (0) | 2013.04.22 |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 예방수칙 (0) | 2013.04.22 |
국립식량과학원과 홍성기술센터 합동으로 일손돕기 구슬땀 흘려 (0) | 2012.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