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농사 준비(볍씨준비와 땅심 높이기)
< 볍씨 준비 >
❍ 종자신청을 하지 못한 농가는 순도 높은 우량종자 생산 농가와 자율교환을 통해 종자를 확보
❍ 신품종 재배 시 적응지역, 병해충 저항성 등 재배특성을 파악하여 특정 병해충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은 재배를 피해야 함
❍ 밤에 점등(야간조명)으로 인하여 이삭패기가 늦어질 우려가 있는 지역(도시근교 도로변, 공장주변 등)은 중만생종을 피하고 조생종으로 재배
< 땅심 높이기 >
❍ 모래 논 등 찰흙이 적어 생산력이 떨어지는 논은 찰흙함량이 25% 이상 되는 우량 객토원(붉은 산흙)을 사전에 확보하여 양질의 흙으로 객토를 하여 토양을 개선
❍ 객토를 한 논은 볏짚, 두엄 등 유기물과 규산질비료를 시용하고 깊이갈이를 하는 등 종합개량이 되도록 하여 객토 효과를 높여주도록 해야 함
❍ 규산질비료 시용은 논 토양 유효규산함량이 157㎎/㎏미만인 논에 시용하여야 하며, 시용량은 토양정밀 검정결과로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검정결과가 없을 경우에는 200∼250kg/10a를 시용함(보통 3년 1주기 시용)
❍ 벼에서 규산의 효과는 비료 3요소만 주었을 때 보다 쌀의 외관과 미질관련 특성이 좋아지고 특히, 병해충에 강하고 단백질 함량이 낮아지고 완전미 비율이 높아져 밥맛이 좋아짐
'작목별 영농정보 > 벼농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 육묘 시 장해 진단 및 예방 관리 (0) | 2016.05.12 |
---|---|
5월중 못자리 관리 방법 (0) | 2016.05.12 |
볍씨 소금물 가리기 및 종자소독 방법 (0) | 2015.04.04 |
벼의 품질과 수량, 두 마리 토끼 잡기 (0) | 2011.05.28 |
농진청, 친환경 재배용 벼 품종 ‘친농’ 추천 (0) | 2011.05.28 |